▲11월 2주차 이재명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요약. 자료=리얼미터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54.5%를 기록했다. 3주 만에 하락세다.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 등으로 떨어지다가 주 후반에는 한미 관세협상 공동합의문(조인트 팩트시트) 발표로 소폭 반등했다. 정쟁으로 점수를 잃다가 외교로 만회하는 모양새가 계속되고 있다.
16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실시한 11월 2주차 주간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54.5%로 집계됐다. 매우 잘함 44.1%, 잘하는 편 10.4%였다. 전주 대비 2.2%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부정 평가는 41.2%로 2.5%p 상승했다. 매우 잘못함 32.6%, 잘못하는 편 8.6%였다. 긍·부정 평가 격차는 15.8%p에서 13.3%p로 좁혀졌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3%였다.
일간 지표 흐름을 보면, 지난 7일 55.0%(부정 39.8%)로 마감한 뒤 11일에는 56%(부정 40.2%)까지 올랐으나, 12일 52.5%(부정 42.8%), 13일 52.1%(부정 43.5%)로 주 중반까지 하락세였다. 그러다 지난 14일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 최종 합의와 핵추진 잠수함 건조 공식화 등이 발표되자 54.8%(부정 41.1%)로 반등했다.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10월 4주차때 51.%로 바닥을 찍었지만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처(APEC) 정상회의 이후 2주 연속 상승해 50%대 중반을 회복했다. 하지만 여야간 정쟁이 심화되면서 상승세가 꺾인 모양새다.
리얼미터는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를 둘러싼 파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여야가 국정조사·탄핵 공방으로 치닫고, 내란 특검·내란 가담 공직자 조사 TF 등 정치 이슈가 연이어 터지면서 정국 전반의 갈등 피로감이 지지율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한미 '팩트시트' 발표를 통해 핵추진 잠수함 건조 등 외교·안보 및 통상 성과가 부각되면서 주 후반에는 하락 폭을 일부 만회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폭이지만 하락세가 나타났다. 서울은 53.8%에서 49.9%로 3.9%p, 인천·경기는 59.9%에서 57.1%로 2.8%p, PK는 54.8%에서 51.8%로 3%p씩 각각 떨어졌다. 광주·전라도 77.6%에서 75.8%로 1.8%p, TK는 38.4%에서 36.9%로 1.5%p 하락했다. 대전·세종·충청만 52.5%에서 55.7%로 3.2%p 올랐다.
성별로는 여성이 60.2%에서 54.5%로 5.7%p 하락한 반면 남성은 53.1%에서 54.5%로 1.4%p 소폭 올랐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과 30대에서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70대 이상은 53.5%에서 46.5%로 7%p나 떨어졌고, 30대는 49.5%에서 46.5%로 3%p 하락했다. 이어 20대(37.9%→36.6%), 40대(69.0%→67.7%), 50대(66.1%→64.9%)는 소폭 떨어졌다.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의 긍정 평가가 59.8%에서 57.5%로 2.3%p 내려갔다.
직업별로는 무직·은퇴·기타(58.5%→48.1%, 10.4%p↓), 학생(42.2%→34.4%, 7.8%p↓), 가정주부(58.4%→51.4%, 7.0%p↓), 농림어업(51.3%→48.4%, 2.9%p↓)에서 하락세가 비교적 컸다. 반면 자영업은 51.6%에서 56.9%로 5.3%p 상승했다.
▲11월 2주차 정당지지도 요약. 자료=리얼미터
따로 실시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3주 연속 완만히 상승했다. 국민의힘은 2주 연속 하락해 양당 간 격차는 11.7%p에서 12.5%p로 더 벌어졌다.
민주당은 전주 대비 0.2%p 오른 46.7%, 국민의힘은 0.6%p 하락한 34.2%를 기록했다. 조국혁신당은 3.2%(0.7%p↑), 개혁신당 3.1%(1.1%p↓), 진보당 1.0%(0.2%p↑), 기타 정당 2.8%(1.1%p↑)였으며,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9.1%로 0.4%p 감소했다.
리얼미터는 “민주당은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 이후 국민의힘이 '이재명 탄핵' 등 강경 공세 수위를 높이자, 이에 대한 방어 심리가 작동하면서 핵심 지지층 결집 효과를 본 것"이라며 “반대로 국민의힘은 잇단 탄핵·내란 프레임 공세가 TK와 보수층 일부에 정치적 피로감을 유발하며 핵심 지지층 이탈을 불러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통령 지지율 조사는 지난 10~14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51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률 4.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다. 정당 지지도는 13~14일 유권자 1006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응답률 3.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두 조사 모두 무선(100%) 자동응답(ARS) RDD 방식이다. 자세한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너지경제 여론조사] 李 대통령 지지율 2.2%p↓·54.5%…“정쟁에 하락, 외교로 반등”](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4.2347b83636614476a628c8d147e9f506_T1.png)







![[EE칼럼] 동맹과의 협력으로 우리의 차세대 원자로를 확보하자](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1125.4f51277781ad48c48c0b87cbe468680f_T1.jpg)
![[EE칼럼] 글로벌 공급망, 정책의 일관성이 중요하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13.f72d987078e941059ece0ce64774a5cc_T1.jpg)
![[신연수 칼럼] 기후변화 대응, 더는 후퇴하지 말자](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1.d106b5fa7dae4b1b8bb0b2996cdd827a_T1.jpg)
![[신율의 정치 내시경] ‘잊혀진 사람’과 유튜브 사이: 문재인 전 대통령의 선택](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3.1f247e053b244b5ea6520e18fff3921e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금융에 ‘냉정함’이 필요한 이유](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0707.4f068e7ca63e46c6836a2ff4bd234276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