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외국인·기관은 담고, 개인은 팔고…HBM 호재에 ‘8만전자’ 넘어 ‘11만전자’ 기대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4 14:14

외국인·기관 6조 순매수 vs 개인 6조 순매도…수급 엇갈린 ‘국민주’

엔비디아발 HBM 호재에 증권가 “11만전자도 가능”…일각선 단기 과열 경계

ㄴㄴ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업황 훈풍에 힘입어 단숨에 '8만전자'를 넘어섰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로 고대역폭메모리(HBM)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은 공격적으로 매수에 나선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차익 실현에 나서며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목표주가를 줄줄이 상향하며 '11만전자' 기대감까지 키우는 모습이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삼성전자는 1.4% 오른 8만4700원에 마감하며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이날 삼성전자는 장중 8만5000원 선을 수차례 터치하며 심리적 저지선 돌파를 시도했다. 이달 들어서만 25.3% 상승, 불과 16거래일 만에 6만원대 박스권을 벗어났다. 상승장을 이끈 주체는 외국인이었다.


같은 기간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4조1628억원어치 순매수하며 랠리를 주도했다. 지난해 10조원 넘게 팔아치우고 올해 8월까지도 순매도 기조를 보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기관 역시 1조6393억원 규모를 순매수하며 힘을 보탰다.


반대로 개인은 6조6463억원을 순매도했다. 특히 23일 하루에도 1조원 넘게 팔아치우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오랜 기간 '국민주' 삼성전자가 정체를 면치 못하며 개인들의 실망감이 누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삼성전자의 주가 랠리에는 엔비디아발 호재도 작용했다. 삼성전자가 최근 엔비디아로부터 HBM3E 12단 제품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해 구매 주문을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제품 개발 18개월 만의 성과다. 증권가는 내년 출시될 엔비디아 차세대 GPU '루빈'에 삼성 HBM4가 탑재될 가능성에 주목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경쟁사 대비 가장 높은 성능을 구현해 엔비디아의 물량 확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겨울'을 경고하던 글로벌 IB 모건스탠리도 태도를 바꿨다. 최근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8만6000원에서 9만6000원으로 올리며 “메모리 산업 역학이 공급 부족 국면으로 전환돼 2027년 정점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증권사들도 일제히 목표주가를 상향했다. 미래에셋증권은 11만1000원을, 한화·IBK·SK증권 등도 11만원을 제시했다.


김영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예상보다 빠른 메모리 가격 회복에 따라 삼성전자의 내년 D램 평균판매단가(ASP) 상승률을 6.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며 “HBM4(6세대 HBM)와 1c 나노미터(nm, 11 nm) 공정 전환으로 공급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세트 수요가 회복되면 메모리 가격 강세는 장기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동학개미'들의 소외감은 여전하다. 최근 5년간 SK하이닉스 주가가 300% 넘게 오른 반면 삼성전자는 40%대 상승에 그쳤기 때문이다. 3월 주총에서는 주주 성토 속에 경영진이 직접 사과까지 한 바 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반등이 실적 개선과 HBM 경쟁력 강화에 따른 구조적 변화의 신호일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향후 수급 추이에 따라 주가 흐름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단기간 급등에 따른 부담은 존재하지만, HBM 경쟁력 강화가 확인된 만큼 수급만 뒷받침된다면 중장기 상승 여력은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