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소비쿠폰 지급일 다가오니…소상공인 사용처 알리기 ‘분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6 18:31

소상공인 “소비쿠폰 사용처 적극적으로 알려야”
포스터·배너·현수막 ‘불티’…한 번 사면 연말까지

홍보물제작업체

▲한 홍보물 제작업체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를 위한 포스터가 판매되고 있다. 사진=비즈하우스 몰 캡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일(21일)이 다가오면서 소상공인들이 소비쿠폰 파급효과를 흡수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 일단은 해당 점포가 소비쿠폰 사용처라는 점을 단골 고객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려는 모습이다. 정부 및 지자체도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에 전용 스티커를 제작해 배포한다는 방침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소비쿠폰 사용처 안내를 위한 소상공인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1인당 15만원의 소비쿠폰이 풀리면, 가맹점 여부에 따라 매출이 극명하게 갈릴 것으로 예상돼서다. 정부와 지자체는 일반 국민들이 소비쿠폰 가맹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에 전용 스티커를 제작해 배포한다는 방침이지만, 일부 소상공인들은 별도로 추가적인 안내 방식도 고민하고 있다.


일부 홍보물 제작업체에서는 소상공인이 소비쿠폰 사용처 홍보에 활용할 포스터와 스티커, 배너, 현수막 등을 판매하고 있다. 안내 문구가 새겨진 포스터는 한 장에 4000~5000원, 매장 앞에 놓을 수 있는 배너는 2만~3만원 선으로 책정돼 있다.


이미 홍보 포스터를 주문했다는 한 소상공인은 “소비쿠폰 사용이 올 연말까지인 만큼, 한 번 구매하면 연말까지 쓸 수 있다"면서 “비용을 조금 쓰긴 했지만, 이 안내문을 보고 더 많은 손님이 우리 가게에 왔으면 좋겠다"고 했다.


소상공인·자영업자 커뮤니티에는 단골로 찾는 학생 손님들에게 적극적으로 안내할 필요가 있다는 팁도 공유됐다. 소비쿠폰은 전국민에게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2007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미성년자는 기본적으로 주민등록상 세대주가 본인 포함 가족 전원의 쿠폰을 함께 신청해 받게 된다.




관련 팁을 공유한 게시자는 “부모 입장에서는 소비쿠폰을 아이 학원비로 써버릴 수도 있지 않나"라며 “단골인 학생들에게 '부모님께 소비쿠폰을 직접 사용하게 해달라고 하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소상공인들은 네이버나 다음·카카오맵 등에 나온 매장정보에서 직접 글을 작성해 소비쿠폰 사용처라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정부는 카카오맵이나 티맵 등 지도 앱에서 일반 이용자들이 소비쿠폰 사용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논의 중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국민들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차원에서 다양한 방법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