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비상경영’ 이랜드리테일, 유통·패션 다시 통합…돌파구 찾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09 17:57

9월 킴스클럽·글로벌 흡수합병…유통 단일법인화

자원 통합 통해 비용 절감·사업 연계로 시너지 도모

‘부당 발령 논란’ 인력 재배치 놓고 노사 간 갈등도

이랜드 가산사옥 전경. 사진=이랜드그룹

▲이랜드 가산사옥 전경. 사진=이랜드그룹

이랜드그룹 지주사 이랜드월드의 유통부문 중간지주사인 이랜드리테일이 통합 기치 아래 대형마트·패션 등 100% 자회사들을 하나로 묶겠다고 예고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실적 부진으로 올 상반기 비상경영 모드에 들어선 가운데 체제 개편을 통한 비용 효율화와 함께 사업부문별 시너지 강화로 돌파구를 모색하는 분위기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랜드리테일은 지난 4일 이랜드킴스클럽(대형마트 운영법인), 이랜드글로벌(패션 브랜드 운영법인)을 흡수합병한다고 공시했다. 회사에서 밝힌 합병 목적은 '사업 경쟁력 강화와 기업 가치 증대'로, 합병 일자는 오는 9월 1일이다.


앞서 지난 2022년 이랜드리테일은 사업부문별 법인 독립을 통해 외연 확장을 꾀했지만, 시장 변화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커머스 공세에 밀려 갈수록 오프라인 유통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본업 강화를 위해 3년 만에 체제 개편에 나선 것이다.


이는 수년 째 계속된 실적 악화로 올 4월 선언한 비상경영의 맥락에서 이뤄진 조치로 읽힌다. 2022년 699억원을 기록한 이랜드리테일 영업이익은 이듬해 517억원, 지난해 300억원으로 2년 연속 감소세다. 올 1분기에도 92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전년동기(-20억원) 대비 4배 이상 적자 폭이 커졌다.




경영난 극복을 위해 이랜드리테일이 효율화 기조에 힘을 싣는 만큼 업계는 추후 흡수합병을 계기로 수익성 개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한다.


실제 비효율 점포 정리를 거듭하며 NC백화점, 2001아울렛, 동화백화점 등 한때 50곳을 넘었던 이랜드리테일의 오프라인 점포 수는 현재 43곳으로 줄어든 터다. 여기에 2023년 6월부터 신사업으로 추진해 온 편의점 사업(킴스편의점)도 종료한다. 올 5월 1호점인 서울 봉천점을 폐점했고, 오는 2029년까지 나머지 4개 매장도 순차 정리한다.


이랜드리테일 관계자는 “편의점 사업도 테스트해 봤고 패션 브랜드도 백화점 등 외부 채널에 진출했었지만, 향후 자사로 사업 역량을 집중해 자체 채널을 강화하려고 한다"면서 “합병시 자원 통합으로 비용 절감도 이뤄 경영 효율화를 통한 실적 턴어라운드를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통·패션 사업간 연계를 통한 오프라인 모객 전략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랜드리테일은 계열사간 시너지를 확대해 타사 온라인 고객을 끌어들이는 방식을 펼쳐왔다. 지난해에는 킴스클럽 내에 가성비 뷔페 브랜드 '애슐리퀸즈' 메뉴를 델리(즉석조리식품) 형태로 구현한 매장 '델리 바이 애슐리'도 처음 선보였다.


여기에 초저가 전략의 하나로 이랜드글로벌이 보유한 유통형 SPA 매장 'NC베이직', 오프 프라이스 매장 'NC픽스' 매장도 운영 중이다. 특히, NC픽스는 병행 수입 명품 등을 정상가의 절반 이상 할인가로 판매하는 대신, 오프라인 전용으로만 운영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유통 부문의 단일 법인화를 통해 내실 다지기 고삐를 죄고 있지만, 비상경영의 하나로 추진 중인 인력 재배치를 둘러싸고 노사간 갈등이 여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회사 측은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한 불가피한 대안이라는 입장이나, 노조 측은 사실상 구조조정이라며 고용노동부에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하는 상황이다.


회사측이 관리직 직원들에게 물류센터·상품 택갈이 업무 등을 맡기려 하고, 주차·보안 도급업체와 계약을 해지해 이를 맡던 비정규직 노동자를 해고하고 정규직으로 대체하려 한다는 것이 노조 측의 주장이다.


이랜드리테일 관계자는 “구조조정 대신 직원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인적 자원 재배치를 하는 차원으로, 해고 등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구조조정은 하지 않고 있다"며 “노사협의회를 구성해 계속 면담과 설명회, 직무교육 등도 진행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