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조감도./HDC현산
에너지경제신문=공사비 1조 원 규모의 용산 정비창전면 제1구역 재개발 정비사업 수주전에 나선 HDC현대산업개발(HDC현산)의 행보에 빨간불이 켜졌다. HDC현산이 맡은 공사 현장에서 연이은 인명 사고로 생긴 사법리스크에 대한 일부 조합원의 우려가 커지면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용산 정비창전면 제1구역은 용산구 한강로3가 일원 7만1900.8㎡ 부지에 지하 6층~지상 38층 규모의 공동주택 12개동 777가구와 오피스텔 894실, 그리고 상업 또는 업무시설을 신축한다.
시공자 선정총회는 다음달로 예정돼 있다. 현재 포스코이앤씨와 HDC현산이 시공사 경쟁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HDC현산의 잇단 붕괴 사고에 따른 사법리스크가 법적 분쟁으로 비화하면서 일부 조합원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실제로 HDC현산은 최근 공사 현장서 붕괴사고가 연이어 발생해 무려 24명의 사상자를 냈다.
2021년 6월 '광주 학동 재개발 4구역 재개발 공사(광주 학동 공사)'를 진행하다가 시민 9명이 숨지고 8명이 크게 다치는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서울시로부터 2022년 3월 부실시공을 이유로 8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이 또한 HDC현산에 중대한 과실을 인정한다는 1심 재판부의 판단을 고려한 것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사고 발생 6개월 만인 2022년 1월 '광주 화정동 아이파크 아파트 공사(광주 화정동 공사)'를 진행하던 중 붕괴 사고가 나,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또 다시 서울시는 이달 내 HDC현산의 행정 처분을 내린다는 입장이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이와 관련해 서울시에 최고 수위의 처분을 요청한 바 있다.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업계에선 내달 예정된 용산 정비창전면 제1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의 시공사 선정에 참여한 HDC현산이 좌초 위기를 맞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여기에다 연이은 붕괴 사고에 따른 '사법 리스크'가 겹겹이 쌓이자 HDC현산의 사업 행보에 제동이 걸리는 분위기다.
실제로 HDC현산은 '경기도 광명시 광명11구역 재개발'에도 시공에 참여하려 했으나 배제된 바 있다. 조합이 연이은 붕괴 사고를 낸 HDC현산의 시공 실력을 불신한 게 가장 큰 배경이다. 결국, 조합의 거센 반발로 현대건설 단독시공으로 계약이 변경됐다.
최근엔 신당 10구역 조합원 카카오톡 단체방에서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HDC현산의 '영업정지 리스크'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는 글도 올라왔다.
이에 따라 GS건설과 HDC현산이 컨소시엄을 이룬 상황이지만, GS건설이 단독으로 시공할 수도 있는 분위기도 감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