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7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산업계, 총선 이후 전기요금 인상 여부 주목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4.10 11:23

원가 부담 가중 우려…제조업 실적 회복 저해

“한전 실적 상승세” vs “경영정상화 노력 필요”

한전

▲한국전력공사 서초지사

국내 제조업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총선 이후 '걸림돌'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전기요금 인상을 단행하면 원가 부담이 커지면서 수익성 회복이 어려워지는 탓이다. 상대적으로 원가가 낮은 산업용 전기요금이 주택용 보다 비싸졌다는 점도 지적을 받는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이 총선 직후 전기요금을 끌어올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잇따른 '판가' 인상으로 실적이 상승세를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전은 2022년 32조6500억원·지난해 4조5700억원 규모의 적자를 냈으나, 올해는 9조~10조원 상당의 흑자가 예상된다.


2분기에 적용되는 연료비조정단가를 kWh당 5원으로 동결한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한전은 경영정상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을 표명한 바 있다. 지난해 기준 한전의 누적적자는 43조원, 총 부채는 202조원에 달한다. 이로 인한 이자 부담도 상당하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90달러 선으로 상승하면서 연료비가 늘어나고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및 송·배전설비 확대 등으로 영업비용이 불어나는 추세라는 점도 추가 인상론에 힘을 싣고 있다.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재생에너지 보급 가속화에 따른 장기적인 인상 요인도 추가될 전망이다.


실제로 지난달 기준 태양광과 풍력발전의 정산단가는 kWh당 130원 수준으로 원자력(52.4원)의 2배가 넘었다. 액화천연가스(LNG)는 177.8원으로 이를 상회했다.


철강업계는 전기요금 kWh당 1원이 오를 때마다 연간 200억원 규모의 원가 부담이 더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철강업계

▲포스코 포항제철소,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동국제강 당진공장, 세아제강 포항공장(왼쪽위부터 시계방향)

철강사들이 수익성 유지를 위해 이를 판가에 반영하면 자동차·조선·기계류를 비롯한 전방산업도 영향을 받게 된다.


포스코가 저탄소 철강재 생산을 위해 2026년 가동을 목표로 전남 광양에 연산 250만t급 전기로 공장을 짓고 있는 것도 거론된다.


현대제철도 기존 고로 중심의 생산체제를 신전기로 프로세스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지금보다 전기요금 인상의 후폭풍이 크게 다가올 것으로 점쳐지는 이유다.


반도체·정유·시멘트 등 다른 에너지 다소비 업종도 채산성 하락을 피하기 어렵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인상으로 인해 부담한 비용은 4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공급과잉과 수요부진 등 이중고에 시달리는 석유화학업계는 난항을 겪을 수 있다.


K-배터리도 자유롭지 못하다. 동박이 배터리 셀 제조원가의 5~6%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동박은 음극재의 재료로, 제조과정에서 전기를 많이 쓰는 품목이다.


SK넥실리스·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말레이시아 비중을 높이는 것도 전기요금이 낮은 까닭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국내 제조업은 낮은 전기요금 등에 힘입어 국제무대에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라며 “이같은 장점이 희석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