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죽의 장막’열고 ‘데탕트’ 이끌어…키신저 전 국무장관 100세로 별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1.30 12:34
FILES-US-DIPLOMACY-KISSINGER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사진=AF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미국 외교계의 거목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이 향년 100세로 29일(현지시간) 별세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키신저 전 장관의 국제외교정치 컨설팅사 ‘키신저 어소시어츠’는 이날 "존경받은 미국인 학자이자 정치인 헨리 키신저가 11월 29일 코네티컷 자택에서 별세했다"고 발표했다.

1923년 독일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키신저 전 장관은 1938년 가족과 함께 나치 독일로부터 미국 뉴욕으로 이주했으며, 1949년에 미국인으로 귀화했다.

1954년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포드 행정부에서 발탁됐고 1969년 국가안보보좌관에 오른 데 이어 1973년 제56대 국무장관에 임명됐다.

키신저 전 장관은 냉전의 세계 질서를 바꾼 전략가로 평가받는 외교계의 ‘살아있는 전설’로 통해왔다. 키신저는 국제 정치에서 국가 이익이나 세력 균형을 중시하는 현실주의 접근법을 취했다.

특히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외교정책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키신저는 특히 냉전 시대 지속된 ‘죽(竹)의 장막’을 걷어내고 1971년 극비리에 중국을 방문해 저우언라이 당시 중국 총리와 회담을 가졌고, 이는 이듬해 2월 닉슨 대통령의 방중 및 마오쩌둥 주석과의 미중 정상회담으로 이어졌다.

미국과 중국이 20여년의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관계 개선에 나선 역사적 순간으로, 결국 미국과 중국은 1979년 공식적으로 수교했다.

키신저의 방중과 미중 정상회담에 앞서 미국 탁구대표팀이 중국을 방문해 친선게임을 벌인 1971년 4월 이른바 ‘핑퐁 외교’가 양국간 화해·교류의 물꼬를 텄다.

또한 구 소련과의 데탕트(긴장완화)를 조성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그는 소련과의 데탕트 전략으로 1969년부터 전략무기제한협정 협상을 주도해 1972년 협정을 맺었다.

키신저 전 장관은 베트남전 종식에 기여한 공로로 1973년 노벨평화상의 영예를 안았다.

한반도 평화에도 관심을 가졌다.

1975년 유엔총회에서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4자회담 개최를 제안했다. 또 한국을 자주 찾아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헤 전 대통령과 만났다.

키신저 전 장관은 1977년 지미 카터 행정부 출범으로 국무장관에서 퇴임한 뒤에도 저술 및 연구, 강연 등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외교정책을 조언하고 2018년에 이어 올해 7월에도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났다.

100세가 된 올해도 집필 작업을 이어가는 등 끊임없는 열정을 과시했다.

그의 아들 데이비드 키신저는 올해 봄 미국 워싱턴포스트(WP) 기고문에서 아버지의 장수 비결로 "꺼지지 않는 호기심으로 세상과 역동적으로 소통하는 것"을 꼽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