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제철 전기로 모습. |
업계는 수익성 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야간 조업과 생산 효율화를 비롯한 원가 관리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원가 부담 확대를 만회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철강사는 통상적으로 kWh당 1원 인상시 연간 2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 상반기 인상분 21.1원을 포함하면 연간 부담이 6000억원 이상 불어난 셈이다.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을 비롯한 국내 업체들이 탄소중립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로 설비를 늘리고 있다는 점도 언급된다. 친환경성을 강화할수록 수익성 하방에 대한 압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철광석값이 지난 10일 기준 t당 126.99달러로 오르는 등 원재료값도 가중되고 있다. 건설 등 전방산업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판가를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점도 토로했다.
업계는 조선용 후판값 협상을 주목하는 모양새다. 그간 조선사들은 업황 부진 등을 내세워 인상 억제를 주장했다. 그러나 흑자전환을 비롯한 실적 향상이 이어졌다는 점에서 이번 테이블에서는 철강사들의 목소리가 더 크게 반영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원가가 낮은 산업용 전기요금이 주택용을 상회하게 된 것도 언급했다. 원가에 입각한 가격 산정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연료비 연동제의 실질적 시행도 촉구하는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는 3개월 단위로 유가 등락을 비롯한 연료비 변동분을 전기요금에 반영하는 제도다. 한전은 사장이 바뀔 때마다 이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으나 국민 부담 등을 이유로 부분적인 시행만 하고 있다.
이번 인상도 주택용과 산업용(갑) 요금은 동결됐다. 사실상 대기업에게만 어려움을 전가한 셈이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산업용(을) 고객은 42만호로 전체의 0.2%에 불과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일본 업체의 공세도 강화되는 등 대내·외 악재가 쌓이고 있다"며 "전력산업기반기금 요율 완화 등 기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솔루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