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 주한 캐나다대사관에서 릭 크리스티안세 IAC CEO(왼쪽)·이경섭 포스코홀딩스 전무가 유전염수 리튬사업 협력 MOU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포스코홀딩스는 자원 개발 파트너사를 물색하고 광구를 찾는다는 방침이라고 8일 밝혔다. 최적의 리튬 추출 상용화 공정도 실증할 계획이다.
IAC는 포스코홀딩스의 투자 과정에 대한 행정 지원을 하고 유망 사업자와 연결하는 역할도 맡는다. 자원 개발 관련 정보 및 세제 혜택도 지원할 예정이다.
앨버타주는 캐나다 석유·셰일가스 산업을 주도하는 지역이다. 세계 최대 수준의 유전염수 리튬 매장량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포스코홀딩스는 아르헨티나 염수리튬 사업과 호주 광석리튬 사업 등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토대로 유전염수 리튬 사업 상용화에 대한 투자 검토 및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있다.
비전통 리튬 자원으로 원료 공급망을 다변화하기 위함이다. 북미 리튬 생산거점 확보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 역량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포스코홀딩스는 2030년 리튬 생산력 42만3000t을 보유한 글로벌 탑3 업체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총 5만t 규모로 건설 중인 염수리튬 1·2단계 상용화 공장과 광석리튬에 기반한 연산 4만3000t급 수산화리튬 공장에 이어 캐나다 광물·금속 계획(CMMP) 등 전략광물 투자 활성화 정책에 연계한 캐나다 리튬 사업을 추진한다.
이경섭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사업팀장은 "IAC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리튬 공급망을 강화하고 글로벌 이차전지소재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며 "앨버타주의 풍부한 자원과 포스코홀딩스의 혁신 기술이 합쳐져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