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김홍국 하림 회장 "제대로 된 어린이식품 만들겠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1.01 17:55

전문브랜드 '푸디버디' 식사·간식 신제품 24종 출시
막내딸 아토피 겪은 뒤 자연식재료 제품 개발 나서
라면·핫도그·즉석밥·국물·볶음밥·튀김 등 메뉴 다양
미취학·초등저학년 겨냥…내년 매출 300억원 목표

김홍국 하립 회장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1일 서울 강남구 청담씨네시티에서 열린 어린이식 브랜드 ‘푸디버디’ 출시 기념 간담회에 참석해 브랜드 개발 배경과 사업 계획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조하니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네 아이의 아빠로서 여느 부모가 그렇듯 자연의 신선한 식재료로 만든 순수한 식품을 만들고 싶었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1일 하림의 어린이식품 진출 출사표를 던지고 아이뿐 아니라 부모까지 고객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피력했다.

이날 서울 강남구 청담씨네시티에서 열린 하림산업의 어린이식 브랜드 ‘푸디버디’ 출시 간담회에 참석한 김 회장은 "요즘 대다수 부모들이 라면 성분이 해롭다는 이유로 아이들의 섭취 횟수를 제한하거나, 스프를 넣지 못하게 한다"면서 "아이와 라면 섭취 관련해 실랑이 하는 짜증스런 시간을 보낸 후 진짜 재료로 만든, 제대로 된 맛으로 아이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왔다"며 ‘푸디버디’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우리아이 입맛친구’라는 브랜드 컨셉트를 표방하는 ‘푸디버디’가 엄마아빠의 사랑을 더한 ‘진짜 어린이식’을 표방하는 만큼 김 회장을 비롯해 브랜드매니저(BM), 연구개발(R&D) 연구원, 영양전문가 등 자녀를 둔 직원들이 합심해 제품을 만들었다고 회사는 말했다.

특히, 지난 2021년 김 회장은 아토피를 앓았던 막내딸을 위해 첨가물 없는 ‘더미식 장인라면’을 선보인 직후 1년 간 ‘푸디버디’ 제품 개발을 직접 챙기는 의지를 보였다.

이날 공개한 ‘푸디버디’ 상품군은 즉석밥 3종을 비롯해 라면 4종, 국물요리 5종, 볶음밥 5종, 튀김요리 5종, 핫도그 2종까지 총 24종으로 구성돼 있다.

하림은 주력제품으로 라면을 내세웠지만 식사와 간식까지 아우르는 폭 넓은 라인업을 구축했다.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식사를 준비하는 수고로움을 대체한다는 목표로 메뉴도 일반 가정집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메뉴 위주로 구성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인공조미료와 향미료 없이 고기와 사골, 향신 채소 등의 자연 재료만 사용한 점도 특징이다. 특히, 개발에 많은 공을 들인 주력제품 라면은 사골과 우골, 소고기, 양지를 넣어 20시간 동안 끓인 국물은 물론, 1㎜의 얇은 건면으로 아이들도 쉽게 씹을 수 있게 했다. 기존 제품(1640㎎)보다 나트륨 수치도 낮아 제품별로 ‘푸디버디 빨강라면’은 1080㎎, ‘푸디버디 하양라면’은 1050㎎ 수준이다.

통상 유아식시장 주요 타깃은 생후 36개월까지로 잡고 있지만 하림은 ‘푸디버디’를 통해 더욱 맛에 민감한 4~8세 어린이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집중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가격대는 키즈식 시장이 보통 프리미엄 가격대를 형성하는 만큼 이와 유사하게 설정했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주력 제품인 라면 한 봉지 기준 1700원 수준이다.

다양한 흥미로운 요소를 더해 재미도 챙겼다. 먹으면서 숫자 놀이를 할 수 있는 숫자 모양 너겟과 가루를 넣고 흔들어 먹는 팝콘치킨 제품 외에도 동물모양 스티커, 신발 장식용 지비츠 참 등 굿즈를 제품 내 동봉했다. 푸디버디 제품은 온라인 채널 포함해 다양한 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될 예정이다.

하림 관계자는 "내년 연매출 3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이 가운데 라면에서만 100억원을 낼 계획이며, 국내 어린이식 시장선점을 위해 마케팅 활동을 적극 펼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림 푸디버디 빨강라면

▲1일 하림이 출시한 어린이식 브랜드 ‘푸디버디 빨강라면’. 사진=하림


inahoh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