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항우연 인력 대거 이직…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이대로 괜찮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0.16 15:48

조광래 전 원장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취업…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술 유출 여부 조사

누리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고조되고 있다. 체계종합기업 선정을 위한 프로세스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구성원들이 특정 기업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조광래 전 항우연 원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합류했다. 조 원장은 한화그룹의 우주사업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미래우주기초기술연구원(가칭)의 기술책임자(CTO)를 맡는다.

10여명의 항우연 연구원도 한화그룹으로 옮기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나로호·누리호 개발에 참여했다. 한화그룹을 향한 또 다른 ‘이직 러시’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기술 유출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항우연에 대해 특정감사를 벌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항우연은 △청탁금지 △이해충돌 방지 △공직자 윤리 등 연구원 이직과 관련된 법률 검토 후 입찰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항우연 내부 자료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주 활동이 입찰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 시기가 절묘하기 때문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와 함께 이번 사업을 수주할 유력 후보로 꼽힌다.

한화는 누리호 사업의 체계종합기업으로서 3차 발사 준비·운용에 참여한 경험을 앞세우고 있다. 중대형 발사체 엔진 생산·제조 능력을 보유한 것도 강점이다. 2027년까지 진행되는 누리호 4~6차 발사도 주도한다. 김동관 부회장이 몸담고 있는 ‘스페이스허브’를 중심으로 우주·위성 분야 경쟁력도 높이고 있다.

KAI는 누리호 개발모델과 인증모델 및 1~3차 비행모델의 총 조립을 수행했다. 한국형발사체 4~6호 발사에도 참여했다. 국방과학연구소(ADD)와 ‘초소형위성체계 SAR 검증위성’ 개발 계약도 체결했다. 이는 67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로 위성 개발·발사와 우주 공간 내 임무 테스트 등으로 구성됐다.

업계 관계자는 "2032년까지 2조132억원에 달하는 사업비가 책정된 만큼 공정한 심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뉴스페이스를 민간이 주도하는 것은 맞으나 자본의 논리로 인해 국민의 세금으로 육성한 기관의 경쟁력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spero122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