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임단협 타결…잠정합의안 찬반투표서 58.8% 찬성
[울산=에너지경제신문 이홍주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단체협상을 무분규로 타결했다. 이로써 현대차는 5년 연속 무분규 임단협 타결 기록을 세웠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18일 전체 조합원(4만4643명)을 대상으로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한 결과 투표자 3만8603명(투표율 86.47%) 중 2만2703명이 찬성표를 던져 58.81%의 찬성률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현대차 노사는 올해 임단협 합의안에서 기본급 11만1000원(호봉승급분 포함) 인상, 성과금 300%+800만원, 격려금 100%+250만원, 전통시장상품권 25만원, 주식 15주 지급과 함께 출산 및 육아지원 확대 등 복지확대를 담았다. 현대차의 기본급 인상액이 11만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사양측은 이와함께 기술직(생산직) 800명 신규 추가 채용, 완성차 알루미늄 보디 확대 적용, 소품종 고급 차량 생산공장 건설 추진 등 미래 투자 확대에도 합의했다.
이번 가결로 현대차 노사는 2019년부터 올해까지 무분규 타결을 이어가게 됐다. 5년 연속 무분규 타결은 1987년 현대차 노조 창립 이후 처음이다.
현대차 노조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는 한일 무역분쟁과 코로나19 영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리스크, 반도체 부족 상황 지속 등을 고려해 파업하지 않았다.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 실적에 맞춘 임금 인상 규모가 무분규 타결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노조는 올해 7월 12일 금속노조 지침에 따라 오전 출근조와 오후 출근조 각 2시간 부분파업을 벌였으나, 이는 올해 임단협과는 무관했다.
현대차 노사는 20일 올해 임단협 조인식을 갖는다.
현대차 관계자는 "지속 성장과 고용 안정을 기반으로 노사가 함께 미래를 준비하고 산업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현대차 노조가 올해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를 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
현대차 노조는 지난 18일 전체 조합원(4만4643명)을 대상으로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한 결과 투표자 3만8603명(투표율 86.47%) 중 2만2703명이 찬성표를 던져 58.81%의 찬성률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현대차 노사는 올해 임단협 합의안에서 기본급 11만1000원(호봉승급분 포함) 인상, 성과금 300%+800만원, 격려금 100%+250만원, 전통시장상품권 25만원, 주식 15주 지급과 함께 출산 및 육아지원 확대 등 복지확대를 담았다. 현대차의 기본급 인상액이 11만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사양측은 이와함께 기술직(생산직) 800명 신규 추가 채용, 완성차 알루미늄 보디 확대 적용, 소품종 고급 차량 생산공장 건설 추진 등 미래 투자 확대에도 합의했다.
이번 가결로 현대차 노사는 2019년부터 올해까지 무분규 타결을 이어가게 됐다. 5년 연속 무분규 타결은 1987년 현대차 노조 창립 이후 처음이다.
현대차 노조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는 한일 무역분쟁과 코로나19 영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리스크, 반도체 부족 상황 지속 등을 고려해 파업하지 않았다.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 실적에 맞춘 임금 인상 규모가 무분규 타결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노조는 올해 7월 12일 금속노조 지침에 따라 오전 출근조와 오후 출근조 각 2시간 부분파업을 벌였으나, 이는 올해 임단협과는 무관했다.
현대차 노사는 20일 올해 임단협 조인식을 갖는다.
현대차 관계자는 "지속 성장과 고용 안정을 기반으로 노사가 함께 미래를 준비하고 산업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