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장 파워반도체상용화센터에서 전력반도체 주간정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박형준 부산시장. 사진=부산광역시 |
시에 따르면 이날 회의는 지난 7월 20일 기장군 동남권방사선의과학 일반산업단지가 ‘전력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로 선정돼 ‘고성능 화합물 전력반도체 생태계’를 부산을 중심으로 조성할 수 있게 되면서, 이를 계기로 부산이 ‘전력반도체 생산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향후 과제를 분석하고 체계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력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는 정부가 고성능 화합물 전력반도체에 특화된 산업단지를 선정해 이곳에 관련 소부장 기업을 집적하고 기업 간 협력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 연구개발(R&D),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시는 주간정책회의를 통해 현재 직면하고 있는 현안들을 점검하고, 부산이 전력반도체 생산 거점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다.
또한 박형준 부산시장은 전력반도체 공정 시설과 SK파워텍 등 파워반도체상용화센터 내에 자리 잡은 부산 반도체 산업의 생생한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이들의 의견을 들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삼성, SK하이닉스 등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전력반도체 시장은 아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부분이 크다"며, "전기차 등 수요 증대에 따라 전력반도체 시장은 갈수록 확대될 것이며, 우리 부산은 전력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전력반도체 핵심기술 자립을 통한 국내 공급망을 확보해 기업 생태계를 완성해나갈 것"이라고 학신했다.
그러면서 "특히 반도체 전문 인재를 부산이 직접 양성해 인력난을 겪고 있는 전력반도체 기업들이 부산으로 오고 싶도록 전문인재 양성(지역대학), 전력반도체 기업지원(시), 생산기반 구축(기업)이 삼박자를 맞춰 지산학 중심의 빈틈없는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시장은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세밀한 정책지원으로 ‘차세대 전력반도체 중심 도시 부산, 실현’을 앞당겨 ‘반도체 산업 초격차’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semin382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