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중소상생형 스마트공장 선정기업 CEO 300여명이 7일 광주광역시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스마트공장에서 스마트공장 견학 프로그램에 참가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중소기업중앙회 |
중기중앙회는 7일 중소벤처기업부, 삼성전자와 함께 올해 스마트공장 선정기업 CEO 등 300여명을 광주광역시 삼성전자 광주캠퍼스에 초청해 삼성의 제조현장을 벤치마킹하고 스마트공장 구축 혁신사례를 소개하는 행사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임경준 중기중앙회 광주전남중소기업회장을 비롯해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 조종래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장, 김완표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김영환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지난 1989년 설립된 삼성전자 광주캠퍼스는 냉장고·에어컨·세탁기 등 프리미엄 생활가전을 생산하고 있으며, 2019년 벤치마킹 행사 이후 코로나 사태로 중단됐다가 지난해부터 중소기업 CEO들을 위해 공장을 다시 공개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삼성의 혁신사례를 중소기업 대표들이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제조현장 투어와 스마트공장 우수기업 사례발표, 삼성전자의 ‘성공적인 스마트공장 구축 가이드 강연’ 등으로 진행됐다.
먼저 스마트공장 우수기업 사례발표에서는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베어링 설계·제조업종 특징인 다품종 소량생산의 한계를 극복한 터보링크 △제철소 쇳물 뽑는 장비 제작 공정방식을 자동화해 연간 생산량이 180% 향상된 베수비우스 △스마트공장을 통해 3세대 용접면을 개발해 강소기업으로 성장한 오토스윙의 성공 사례가 소개됐다.
이어진 삼성전자 광주캠퍼스 제조현장 투어에서는 중소기업 대표들이 냉장고, 에어컨, 금형, 인쇄회로기판조립(PBA), 콤프레셔 제품라인을 둘러보며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시스템 운영, 자동화 설비, 물류 최적화 등 혁신 노하우를 직접 보고 체험했다.
중기중앙회는 중기부,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와 함께 지난 2018년부터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1차 지원사업’을 통해 총 2000여개사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해 왔다.
올해부터 새롭게 시작되는 2차 지원사업은 중기부와 삼성이 3년간 매년 200억원을 투입, 연간 200여개 스마트공장의 구축·고도화를 지원한다.
중기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95.5%는 정부가 스마트공장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주기를 바라고 있으며, 삼성 스마트공장에 대한 중소기업의 만족도는 91.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경준 회장은 "많은 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 구축에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 오늘 삼성의 노하우를 직접 체험해보니 혁신 가능성에 대해 확신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더 많은 지역 기업들이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스마트공장 지원이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삼성과의 스마트공장 사업은 중기부, 중기중앙회, 삼성이 ‘원팀’으로 협업하는 대표적인 상생협력 모범사례"라며 "올해부터 3년간 새롭게 (2차 지원) 사업이 시작되는 만큼, 인공지능(AI), 친환경 전환 등 제조업 패러다임 변화에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도록 중기부, 삼성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