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1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IT회사에서 '내 최적의 보험' 알려준다…표준API 합의에도 완성도는 '먼 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24 16:51

금융위, 플랫폼社 보험 비교·추천서비스에 표준API적용 확정



"업권·회사간 유불리 갈려 잡음 여전"

보험다모아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2일 금융위원회가 플랫폼 기업들의 보험 비교·추천서비스에 표준API를 적용하기로 최종 확정했다. 사진은 현재 보험 비교·추천 채널인 보험다모아 홈페이지.


[에너지경제신문=박경현 기자] 내년 초 시행을 목표로 네이버·카카오·토스 등 핀테크사 앱 내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가 본격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의무보험인 자동차보험과 관련한 소비자의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아직까지 핀테크사와 보험사가 직면한 유불리에 따른 입장차는 넘어야 할 산으로 꼽힌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2일 금융위원회가 플랫폼 기업들의 보험 비교·추천서비스에 표준API를 적용하기로 최종 확정했다. 금융위는 지난달 초부터 표준API 개발과 관련한 의견을 손·생보 협회 등을 통해 전달받았고 표준API 도입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세부사항 논의 후 보험 비교·추천서비스 시행에 맞춰 시스템을 적용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API는 데이터 제공자인 금융사와 플랫폼의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과 규격이다. 방식과 유형 등에 따라 ‘표준(통합)’과 ‘개별’ API로 나뉜다. 표준은 이 정보통신 규격을 하나로 통일한 것이며 개별은 업체별로 다른 정보전송 방식을 쓰는 것이다.

서비스가 시행되면 자동차보험, 실손보험, 여행자보험 등 상해보험에 가입 시 핀테크사 플랫폼이나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개별 금융소비자 조건에 최적화한 보험사 상품을 비교하고 추천받아 바로 가입까지 가능하게 된다. 현재 ‘보험다모아’가 운영하는 보험 비교 서비스가 있지만 단순 교집합식 비교로 인해 실제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가 다르다는 문제가 있었다. 금융위는 자동차보험, 실손보험, 여행자보험, 저축성보험 등 4개 상품에 표준API를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서비스 시행 이후 효용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은 자동차보험 상품이다. 매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데다, 평균 보험료도 70만원에 이르는 등 다른 상품 대비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보험사 입장에서도 이점이 있다. 대형사 대비 상대적으로 마케팅이나 판매채널이 약한 손보사의 경우 이번에 도입되는 서비스를 통해 상품 판매 확대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보험업계와 핀테크사가 해당 서비스를 두고 느끼는 온도차가 극명한 데다 설계사 등 모집인의 입지 축소 등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남아있다. 손보사로선 자사 채널을 활용해 자동차보험을 판매하던 것에서 벗어나 모집 수수료를 빅테크에 지출해야 하는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

이번 표준API 방식의 결정으로 보험사와 핀테크사간 의견 대립은 일단락됐으나 잡음은 여전한 상황이다. 보험사들은 꾸준히 표준API를 쓰는 쪽을 고수해왔다. 표준API를 쓸 경우 보험료, 보험상품, 특약 등의 규격 등을 하나로 통합해 두고 핀테크사에 이 값을 그대로 전송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중소형 손보사나 핀테크사가 개별API를 구축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반면 핀테크기업들은 보험업계가 제공하는 표준화된 정보만으론 복잡한 특약을 두루 따져 개인에 적합한 상품을 제시하지 못할 수 있어 서비스의 차별성과 혁신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이다.

또한 서비스의 정식 출시까지 여러 준비 절차가 남아 순항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비교 후 실제 소비자의 가입이 플랫폼과 보험사 홈페이지 중 어디서 이뤄지느냐, 디자인이나 기능 구성 등을 어떻게 구성하느냐를 놓고도 보험사와 핀테크사간 줄다리기가 이어질 수 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업계가 표준API에 있어 모두 반기는 것도 아니다. 자동차보험에서 이미 우위를 점하고 있는 손보사들은 도입되는 서비스로 인해 중소형사에 대한 경계심도 있고, 중소형사 입장에선 이번 서비스 도입을 계기로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면 빅테크와 개별 API를 만드는 것도 고려하는 부분이다"며 "소형 핀테크사는 반대로 표준 방식을 원하는 곳도 있어 아직까지 업권간 이견이나 업권 내 회사들끼리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서비스 출시의 기본적인 목표인데, 업권간 대립과 수수료 문제가 커지거나 경쟁이 붙는다면 결국 보험료 인상 등이 초래 돼 또 다시 소비자 몫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pearl@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