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HK이노엔 '케이캡', 헬리코박터 치료에 보험 적용 확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04 07:58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HK이노엔의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테고프라잔)의 건강보험 적용범위가 확대된다.케이캡이 보유한 5개의 적응증에 모두 보험급여가 적용되면서 매출 확대 발판을 마련했다.

HK이노엔은 지난 1일자로 케이캡이 소화성 궤양 환자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 요법에 쓰이는 경우에도 보험급여가 적용된다고 3일 밝혔다.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헬리코박터균)은 위장 점막에 주로 감염돼 만성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선암, 위림프종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는 1차로 7일에서 14일 동안 하루 두 번 위산분비억제제와 두 종류의 항생제(아목시실린·클래리트로마이신)을 복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번 급여 확대에 따라 케이캡은 이달부터 소화성 궤양 환자의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에 쓰일 때에도 보험 적용 받는다.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약 50% 가량의 사람들이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위·십이지장궤양 환자 등에게는 특히 제균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케이캡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소화성궤양·만성 위축성위염 환자의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요법 등 국내의 동일계열 치료제 중 가장 많은 적응증을 갖고 있다.

케이캡은 미국, 중국 등 해외 35개국에 진출해있고, 이 중 중국, 필리핀, 몽골, 멕시코에서는 출시를 완료했다.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는 임상 3상 시험을 진행 중이다.

곽달원 HK이노엔 대표는 "기존 프로톤 펌프 저해제(PPI) 계열 제품이 갖고 있는 주요 보험급여 기준이 P-CAB 계열 신약인 케이캡에도 모두 적용됨에 따라 국내에서만 연간 1조원이 넘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활동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케이캡 적응증 추가, 차별화 연구, 해외 진출 등을 꾸준히 추진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 대표 지위를 더욱 굳히겠다"고 말했다.

kch005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