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강남구 역삼동 토스 본사에서 윤기열 토스 커뮤니케이션 헤드(앞줄 왼쪽 다섯번째), 최락현 토스 대출비교 서비스 사업 총괄(앞줄 왼쪽 여섯번째)이 우즈베키스탄 경제정책부처 대표단 및 KDI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모바일 금융플랫폼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이하 토스)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자리한 토스 본사에 우즈베키스탄 경제재정부, 중앙은행, 디지털기술부 등 경제정책부처 책임자와 관련 전문가 15명을 초청했다고 1일 밝혔다.
해당 행사는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주관하는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의 일환이다. 200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KSP는 한국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협력 전략국가의 경제·사회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우즈베키스탄은 KSP 초기부터 협력해 온 주요 국가 중 하나로, 올해는 우즈베키스탄 경제재정부의 사업 수요에 근거해 핀테크 규제 샌드박스에 대한 정책 자문을 진행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대표단은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경제정책부처의 책임자와 전문가로 구성됐다. 대표단은 특히 한국의 금융 샌드박스 성공 사례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토스는 2019년 시작한 대출비교 서비스 도입의 과정과 현황을 공유했다.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첫 선을 보인 토스의 대출비교 서비스는 샌드박스 지정 후 약 2년 간 시범 운영을 진행한 결과 혁신성을 입증받아 금융소비자보호법 제정을 통해 제도권 서비스로 안착했다.
토스의 대출비교 서비스를 통해 대출 조건을 한 번이라도 확인해본 금융소비자는 600만명 이상이며 누적 대출 실행액은 25조원에 이른다.
토스는 우즈베키스탄 대표단에 대출비교 서비스 모델과 그에 따른 사회적 효익, 비즈니스 노하우 등을 전달했다. 대표단은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이룬 대출비교 서비스의 혁신과 성장에 놀라움을 표했다. 아울러 대표단은 토스의 ‘원 앱(One App)’ 전략과 훌륭한 보안 시스템, 기술력에도 관심을 보였다.
토스 관계자는 "우즈베키스탄 경제정책부처 관계자와 전문가들에게 한국 핀테크 산업의 발전 과정과 토스 서비스 노하우를 전할 수 있어 영광이다"라며 "앞으로도 토스는 모범이 될 만한 핀테크 혁신 사례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라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