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정유업계의 올해 1분기 석유제품 수출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해외여행 수요 급증으로 항공유 수출 물량이 50% 넘게 급증했다.
대한석유협회는 올해 1분기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 수출 물량이 작년 동기보다 7.3% 증가한 1억1744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협회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석유 수요 위축에도 정유업계의 적극적인 수출 확대 노력으로 수출 물량이 2년 연속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수출 단가 하락으로 1분기 석유제품 수출액은 작년 동기보다 2.0% 감소한 118억4900만달러(약 15조1100억원)를 기록했다.
1분기 국내 정유사의 원유도입액은 205억8000만달러였는데, 이 가운데 57.6%를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한 셈이다. 회수율은 작년 동기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또 석유제품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하는 1분기 국가 주요품목 수출액 순위에서 반도체·자동차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동기보다 한 계단 더 올라선 것이다.
수출액 기준 석유제품 주요 수출 상대국은 호주(1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싱가포르(12%), 미국(10%), 중국(9%), 일본(8%) 순으로 조사됐다.
호주는 경유, 휘발유, 항공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이 늘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출상대국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경제활동 재개에도 불구하고 4위에 머물렀다. 중국 내 자급률이 상승한 데다 당초 기대했던 리오프닝 효과도 크진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항공유 수출이 급증하면서 지난해 6위에서 올해 1분기 3위로 순위가 올랐다.
석유 제품별 수출액 비중은 경유가 43%로 가장 높았다. 이어 휘발유(20%), 항공유(19.8%), 윤활유(6%) 등의 순이었다. 특히 항공유는 수출 물량과 수출액이 각각 작년 동기보다 53%, 46% 급증했다.
협회는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와 글로벌 여행 수요 급증으로 항공유 수출은 더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석유제품 수출 여건이 불투명한 상황"이라면서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전략적 수출로 업계 수익성도 개선하고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해외여행 수요 급증으로 항공유 수출 물량이 50% 넘게 급증했다.
대한석유협회는 올해 1분기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 수출 물량이 작년 동기보다 7.3% 증가한 1억1744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협회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석유 수요 위축에도 정유업계의 적극적인 수출 확대 노력으로 수출 물량이 2년 연속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수출 단가 하락으로 1분기 석유제품 수출액은 작년 동기보다 2.0% 감소한 118억4900만달러(약 15조1100억원)를 기록했다.
1분기 국내 정유사의 원유도입액은 205억8000만달러였는데, 이 가운데 57.6%를 석유제품 수출로 회수한 셈이다. 회수율은 작년 동기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또 석유제품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하는 1분기 국가 주요품목 수출액 순위에서 반도체·자동차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동기보다 한 계단 더 올라선 것이다.
수출액 기준 석유제품 주요 수출 상대국은 호주(1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싱가포르(12%), 미국(10%), 중국(9%), 일본(8%) 순으로 조사됐다.
호주는 경유, 휘발유, 항공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이 늘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수출상대국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경제활동 재개에도 불구하고 4위에 머물렀다. 중국 내 자급률이 상승한 데다 당초 기대했던 리오프닝 효과도 크진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항공유 수출이 급증하면서 지난해 6위에서 올해 1분기 3위로 순위가 올랐다.
석유 제품별 수출액 비중은 경유가 43%로 가장 높았다. 이어 휘발유(20%), 항공유(19.8%), 윤활유(6%) 등의 순이었다. 특히 항공유는 수출 물량과 수출액이 각각 작년 동기보다 53%, 46% 급증했다.
협회는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와 글로벌 여행 수요 급증으로 항공유 수출은 더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석유제품 수출 여건이 불투명한 상황"이라면서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전략적 수출로 업계 수익성도 개선하고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