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아름

beauty@ekn.kr

김아름기자 기사모음




'호실적' 정유사 난방비 지원 랠리…'생색내기·면피용' 갑론을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2 10:17

정유4사, 일제히 에너지 취약계층 대상으로 성금 기탁



정치권 '횡재세' 부과 의식한 선제적 방어 전략 의심도



정유업계 "상생 행보…다른 의미 없어"

나

▲지난 1일 서울 중구의 한 가게에서 상인이 전기난로로 추위를 피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지난해 호황을 누렸던 정유업계가 일제히 에너지 취약계층 대상으로 난방비 지원에 나섰다. 이들의 행보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정례 연말연시 나눔 활동과 다른 이례적 지원금 증액이다 보니 ‘면피용’, ‘생색내기’, ‘방어전략’ 등 다양한 해석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정유4사들이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한 난방비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가장 먼저 스타트를 끊은 곳은 에쓰오일과 현대오일뱅크다. 양사는 각각 10억원, 100억원을 기부했다. 이어 SK에너지와 GS칼텍스가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 계획을 밝혔다. SK에너지는 한국에너지재단에 기부금 150억원을, GS칼텍스는 총 100억원의 후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GS칼텍스는 여기에 임원진의 자발적 모금과 회사 지원까지 더한 1억원의 기금을 추가 후원한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정유사들의 이 같은 행보를 두고 여러 해석을 쏟아내고 있다. 대체적으로 횡재세 논란을 피하기 위한 ‘면피’, 또는 ‘생색내기’ 아니냐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그간 정유사들이 한파에도 정례적 나눔활동을 했으나, 이번처럼 난방비 지원금 증액을 단행한 적은 없었던 터라 ‘이례적’ 행보라는 것이다.

시민들도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정모(32·여) 씨는 "정유사들의 성과급 잔치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그런데 유독 올해 난방비 기탁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것을 보면 정치권의 횡재세 도입 목소리와 최근 진행한 1000% 성과급 지급 등을 의식한 것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정치권에선 지난해 상반기부터 줄곧 정유사들의 호실적을 짚으며 횡재세를 거둬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횡재세는 법인이나 자연인이 얻은 일정 기준 이상의 이익에 대해 보통 소득세 외에 추가로 거두는 세금을 뜻한다.

특히 올해의 경우 공공요금 인상, 특히 이번 겨울 난방비 폭탄으로 고통 받는 서민들을 위해서라도 횡재세를 거둬야 한다며 정유사들을 압박하고 있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달 31일 "석유사업법 18조에 따라 지나치게 많은 이익을 낸 석유 사업자에 부담금을 징수해 난방비 폭탄으로 고통 받는 국민에게 되돌려줘야 한다"면서 횡재세 입법 추진을 예고하기도 했다.

실제로 SK이노베이션, 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의 합산 영업이익은 10조원을 넘어섰다. GS칼텍스의 실적까지 더해진다면 영업익 15조원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유사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횡재세 부과에 정당성도 없거니와 난방비 지원의 경우 국민과 고통 분담을 하고자 상생 차원의 활동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정유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겨울 난방비가 많이 오르면서 취약 계층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를 함께 나누고자 지원 규모를 늘렸을 뿐, 다른 뜻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