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고금리에 대부업 영업중단 잇따라...신규 대출액 80% 급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1.29 10:58
돈다발

▲현금.(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지난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조달금리가 급등하면서 대부업체들이 영업을 잇따라 중단하고 있다. 현재 영업 중인 대부업체들도 신규 대출 취급을 중단하면서 신규 대출액은 80% 가까이 급감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NICE평가정보 기준 대부업체 상위 69곳이 작년 12월 취급한 신규 대출액은 78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해 1월 3846억원 대비 79.7% 줄어든 수치다. 월별 신규 대출액을 보면 지난해 1월 3846억원에서 9월 2420억원, 11월 1018억원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대부업체 고객들도 꾸준히 줄고 있다. 작년 12월 상위 69개 대부업체의 신규 이용자는 1만58명으로 연초(3만1065명)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조달금리가 급등하면서 대부업체 가운데 영업을 중단하는 업체도 속속 나오고 있다.

작년 12월 상위 대부업체 69개사 가운데 13개사가 신규 대출 영업을 중단했다. 대부업계 1위 업체인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 외에도 12곳 업체가 대출을 중단한 것이다.

이렇듯 대부업체들이 영업을 장단한 것은 지난해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조달금리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대부업체는 수신 기능이 없어 주로 은행이나 저축은행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해 고객에게 빌려준다.

작년 12월 상위 대부업체 16곳의 신규 자금 차입 금리는 8.65%였다. 같은 해 1월 5.14%와 비교하면 3.51%포인트(p) 급등했다.

조달금리 상승과 함께 최근 경기 부진으로 대부업의 주요 고객인 저신용자들의 연체 위험성도 커졌다. 대부업체의 통상 대손비용이 약 8~10%로 책정되고, 대출 중개사에 납부하는 광고비는 약 3% 수준이다. 여기에 8%에 달하는 조달금리를 더하면 원가만 따져도 법정 최고금리인 연 20%를 넘게 된다.

이로 인해 법정 최고금리 연 20% 이하로 대출을 취급하면 대부업체에는 오히려 손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대부업체들은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신규 대출 취급액을 줄이는 한편 그나마 리스크가 적은 고신용자를 까다롭게 선별해 대출을 취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ys106@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