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행 대출창구. (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신협이 연말까지 신규 아파트의 집단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하면서 ‘대출 중단’ 움직임이 제2금융권 전반으로 확산될 지 주목된다. 최근 가파르게 금리가 오른 데다 부동산 경기 침체까지 맞물리면서 제2금융권은 자체적으로 리스크 강화에 나선 상태다. 업계에서는 연말로 갈수록 대출 문턱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협중앙회는 오는 21일부터 연말까지 집단대출 심사 대상에 해당하는 중도금대출, 이주비대출, 부담금대출 취급을 한시적으로 중단한다.
최근 가파른 금리 상승 기조,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금융시장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만큼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차원이다. 신협은 21일 이전에 진행 중이던 현장에 대해서는 일시 중지 기간과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대출을 취급한다. 내년 1월 1일부터는 신규 사업을 위한 취급 심사도 재개할 예정으로, 회원 조합의 집단대출 사업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조율할 계획이다.
신협 측은 "자금 사정이 악화된 것은 아니고, 선제적 리스크 관리 차원"이라며 "기존 상담 고객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잔금대출과 그 외 대출은 취급 중단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신협의 집단대출 취급 중단 움직임이 다른 금융사로 확산될 지 주시하는 분위기다. 실제 제2금융권에서는 원자재 가격 및 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하락 등을 고려해 대출 심사를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금리 상승으로 기존 차주들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사들은 기존 대출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재점검하고, 과거보다 담보가 확실한 물건에 대해서만 대출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나 지방 같은 경우 미분양 주택이 많아 대출 실행시 금융사들이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2금융권 관계자는 "작년과 비교했을 때 주택담보대출 규모를 대폭 줄였다"며 "경기 침체, 원자재 가격 상승, 금융시장 불안 등이 모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담보가 확실한 물건 위주로만 대출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연말로 갈수록 금융사들이 리스크 관리에 더욱 고삐를 조이면서 차주들의 대출 만기 연장이나 신규 대출 등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칫하다 재무구조가 나쁘지 않은 건실한 시공사도 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으면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연말로 갈수록 만기가 도래한 대출 건이 많아지는데, 차주들이 금융시장 불안을 고려해 상환보다는 재연장을 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금융사 입장에서는 재심사시 기존보다 한도를 줄이고, 금리를 올리는 등 조건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만 제2금융권이 신규 대출 취급을 중단할 경우 취약차주를 비롯한 실수요자들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전면 중단 카드는 최후의 보루로 남겨두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대부분의 금융사들이 부동산 경기 하락 등을 고려해 대출 심사를 보수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만일 대출 중단시 실수요자에 미치는 영향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가급적 기존 대출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ys106@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