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원화 스테이블코인, 국내 금융시장 지킬 핵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9 15:50

서울 핀테크위크 2025 컨퍼런스서 기조연설

“원화 코인 국내 시장 보호, 해외 확장 가능성”
“금융강국 나아가는 데 중요한 어젠다”

AI 모델 뒤처진 韓…“데이터 주권 확보해야”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2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서울 핀테크위크 2025 컨퍼런스'에서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가 'AI(인공지능)가 변화시킬 일상, 그리고 금융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

“우리나라에 카드사들이 없었다면, 현재 모습은 어땠을까요? 결국 비자와 마스터카드가 국내 페이먼트 시장을 장악했을 겁니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2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서울 핀테크위크 2025 컨퍼런스'에서 'AI(인공지능)가 변화시킬 일상, 그리고 금융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잠재성을 포기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설명이다.


윤 대표는 “한국은 디지털라이제이션(Digitalization) 에 대한 수용도가 매우 높아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그 자체만으로 가치가 있다"며 “또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국내 시장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해외 송금, 해외 페이먼트 도구로 사용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했다. 예를 들어 현재 해외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그랩(Grab)'을 이용할 때 계정을 생성하고 신용카드로 결제하는데, 원화 스테이블코인 지갑을 만들면 지갑과 앱을 동기화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해외 송금도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는 “지금도 미국에서 유학하는 자녀를 위해 부모가 코인 지갑을 사서 열어주고, 자녀가 미국에서 코인 지갑을 열어 현금처럼 사용한다. 미래의 모습이 아니다"라며 “우리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빠르게 발행해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을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표는 해외 경쟁자의 공세에도 국내 시장을 지켜낸 검색·게임·메신저·e-커머스 시장 등 4개 IT(정보기술) 사업 부문을 언급하며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가상자산과 관련 기술력도 상당히 확보하고 있고, 오랜 시간 동안 수조원이 넘는 돈을 가상 금융 거래 시장에서 이미 활용하는 기술력이 있다"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원화 스테이블코인도 한국이 금융강국으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어젠다가 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표는 데이터 주권을 상실한 산업과 시장은 AI에 잠식당될 수 있다며 '데이터 주권 확보'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AI의 핵심 경쟁력은 크게 '데이터'와 '모델'로 구분되는데, 한국의 모델은 이미 미국과 중국에 크게 뒤처져 있다.


그는 “챗GPT, 퍼블릭시티 등 AI 모델은 웹 데이터로 학습하지만, 앱에 있는 데이터를 학습하지는 못한다"며 “외부 플레이어들이 들어와 성장하지 못했던 4개 IT 사업 부문의 데이터들은 모두 앱에 있다"고 했다. 또 “금융 데이터는 글로벌 1등 AI 공룡들도 접근할 수 없는 데이터"라며 “우리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거꾸로, 세상에 존재하는 AI모델과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하고, 소버린 AI를 통해 개발된 모델까지 적극 활용해 성장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한 예로 카카오뱅크는 출범 당시부터 사용자 동의 하에 대안 데이터를 포함해 신용평가모델을 운영하고 있고, 그 결과 중저신용자 포용은 높으면서도 연체율은 낮은 성과를 냈다고 윤 대표는 설명했다. 또 데이터를 활용한 AI를 도입해 스미싱 문자 확인, 대화형 인터페이스 구축, 금융 계산기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는 “데이터 주권을 확보함으로써 데이터를 활용할 때 보다 AI 지향적인 데이터 활용에 대한 컨센서스(합의)를 가져가야 한다"며 “AI를 적극 활용해 산업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테스트베드를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이 모델에 대해서는 늦었지만 데이터를 기반으로, 4개 IT 사업 부문을 기반으로 AI를 확장하면 국내 시장을 지킬뿐 아니라 전 세계로 우리 기술을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