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캐나다에 35%, 나머지는 15~20%”…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1 10:52
FILES-US-CANADA-TARIFF-TRADE-DIPLOMACY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캐나다 수입품에 대한 3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상당수 무역 상대국에 15% 또는 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에게 보낸 관세 서한을 공개했다.


캐나다에게 보낸 서한은 한국, 일본 등에게 발송된 서한과 내용이 달랐으며 합성마약 펜타닐 문제가 언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기억하겠지만 미국은 펜타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나다에 대해 관세를 부과했고 캐나다는 미국과 협력하는 대신, 자체 관세로 보복했다"며 “2025년 8월 1일부터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캐나다 제품에 대해 품목별 관세와는 별도로 3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적었다.


이어 “캐나다와 겪고 있는 어려움은 펜타닐뿐만이 아니다"라며 “많은 관세, 비관세, 정책 및 무역장벽 등으로 지속 불가능한 무역적자가 초래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캐나다는 우리 낙농업 농부들에게 최고 400%의 관세를 매기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캐나다가 펜타닐 유입을 중단하기 위해 나와 함께 일한다면 우리는 아마도 이 서한의 조정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문제로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현재 부과하고 있는 25%보다 관세율이 10%포인트 더 오른 것이다.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해왔으며, 이번 관세 인상에도 예외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 관리자가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현재 캐나다산 에너지 품목에 부과 중인 10% 관세 또한 유지될 수 있지만 상황이 유동적이라고 관리자는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트럼프의 관셰 계획은 예측이 불가능하며 자주 수정된다"며 “이번 서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웃 국가들과 무역전쟁을 축소하는 대신 확대시킬 의도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캐나다에 대한 관세 서한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인터뷰를 통해 이를 예고한 뒤 공개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NBC 방송과 전화 인터뷰에서 “(서한을 못받은) 나머지 모든 국가는 20%, 혹은 15%의 관세를 내게 될 것. 우리는 지금 그 비율을 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모두가 서한을 받을 필요가 없다"며 “우리는 우리의 관세를 정하는 것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또 캐나다와 유럽연합(EU)이 “오늘이나 내일" 새로운 관세율 통지서를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9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했지만 상호관세중 교역국에 일률적으로 부과했던 10%의 기본관세는 계속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15% 또는 20%'는 기본관세 10%보다는 조금 높은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추가 관세 부과가 주식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일축했다.


그는 “관세 조치가 매우 호평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주식 시장이 오늘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서도 “기술주, 산업주와 나스닥은 신기록을 세웠고 가상화폐는 지붕을 뚫었다"며 “엔비디아 주가는 트럼프 관세 이후 47% 폭등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4일 러시아에 대한 새로은 제재를 예고했다.


그는 “월요일(14일)에 러시아에 대해 중요한 발표를 할 것 같다"며 “러시아에 실망했지만 앞으로 몇 주 동안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볼 것"이라고 NBC에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