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효순

anytoc@ekn.kr

박효순기자 기사모음




[클릭! 3분 건강] 나들이철 ‘소변의 급습’ 걱정된다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18 14:01

외부활동 중 ‘갑작스런 볼일’에 낭패감
전립선비대증·과민성방광·요실금 주범
걷기운동 필요…술·커피·짠음식은 자제

마늘을 이미지화한 남성 전립선

▲남성의 전립선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마늘로 이미지 처리한 모습. 위쪽 보란색 부분이 방광, 아래쪽 마늘 2개가 전립선, 가운데는 요도이다. 사진=에너지경제신문 DB

나들이가 활발한 계절에 '소변대란'을 걱정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전립선 비대증, 과민성 방광, 요실금 등 이 세 가지가 대표적이다. 얄미운 나비처럼 얄궂은 질환이라고 하겠다.


화장실에 가면 먼저 손을 씻고 '볼일을 보는' 것이 상책이다. 그런데 앞서 얘기한 세 가지 질환이 있으면 이런 상책이 통하기 어렵다. 차를 타고 멀리 출발하기에 앞서 화장실 방문을 통해 일단 문제를 해결하고, 증세가 심해 걱정인 사람들은 요실금팬티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 안심대책 중의 하나이다.


전립선 비대증은 △검사를 통해 자신의 전립선 크기 확인하기 △약물치료를 할 때는 의사 처방에 따라 적극적·지속적인 관리하기 △의학적 검증이 안된 식품이나 약품에 의존하지 말기 등 세 가지 사항을 명심해야 한다.


과민성 방광은 여성에서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남성에서도 상당한 유병률을 보인다. 보폭을 크게 해서 빠르게 꾸준하게 걷기를 하면 하체를 강화하고 골반을 지탱하는 근육을 발달시켜 방광 건강에 도움이 된다.


방광을 자극하거나 이뇨 작용을 촉진하는 알코올은 물론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차류, 짜고 매운 음식의 섭취는 줄이는 게 좋다.




배뇨일지를 작성해 자신의 배뇨 습관을 점검하는 필요하다. 시간대 별로 배뇨횟수, 배뇨량, 배뇨 관련해 느낀 불편함 등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배뇨일지는 병원 진료에서도 중요 참고사항이다.


비뇨의학과 전문의 이윤수 원장(서울 명동 이윤수·조성완 비뇨의학과)은 “40~50대부터 남성의 전립선 크기와 상태를 스스로 정확하게 검진·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과민성 방광은 요실금으로 이어질 수 있어 보다 전문적인 의료 해결책을 마련해야 뜻하지 않은 낭패를 면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