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나들이 즐기는 시민들. 연합뉴스
기후변화에 따른 혹한과 폭염 등의 이상현상은 계절의 여왕 '봄'도 비켜가지 않는다. 따뜻해진 봄 날씨로 인해 계절 알레르기는 물론 산불 악화, 홍수, 해충 증가 등 다양한 부작용이 잇따를 전망이다.
27일 클라이밋 센트럴(CC)에 따르면 지난 55년간의 기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970년부터 2024년까지 미국 전역의 기상학적 봄(3~5월)이 따뜻해진 것을 확인했다. 분석 대상인 미국 도시 241개 중 234개(97%)에서 봄철 평균기온이 상승했다. 특히 미국 남서부 지역 봄날씨가 가장 따뜻해 진 것으로 조사됐다.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봄날은 앞으도 더 자주 발생할 예정인데, 5개 도시 중 4개는 1970년대보다 적어도 1주일 이상 정상보다 따뜻한 봄날씨를 나타낼 전망이다.
온난화로 인한 계절 변화는 봄날의 평균일수 증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클라이밋 센트럴은 1970년 이래로 분석한 241개 지역 중 236개(98%) 지역에서 정상보다 따뜻한 봄날의 평균 수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약 80%의 지역(194곳)이 현재 1970년대 초반에 비해 평소보다 따뜻한 봄날이 7일 이상 더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상보다 따뜻한 봄날의 증가는 미국 남서부 지역(평균 19일 더 많음), 서부와 남동부(모두 평균 15일 더 많음), 남부(평균 14일 더 많음)에서 가장 높았다.
1970년 이후 정상보다 따뜻한 봄날이 가장 많이 증가한 도시는 텍사스주 엘파소(39일 증가), 플로리다주 탬파(37일 증가), 네바다주 리노(36일 증가), 애리조나주 투산(35일 증가), 조지아주 올버니(33일 증가)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봄 날씨도 예년 대비 더 따뜻해지고, 강수량은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3~5월 평년보다 기온은 높고, 강수량 또한 많을 전망이다.
3월의 경우 북태평양과 인도양, 대서양의 높은 해수면온도로 인해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기온 상승 가능성이 있다. 북태평양과 남인도양 고수온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 따뜻하고 습윤한 남풍기류가 유입돼 강수량 또한 대체로 많겠다.
4월에는 동인도양의 높은 해수면온도로 인해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을 가능성이 있다.
5월에도 동인도양과 아라비아해의 높은 해수면온도로 인해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돼 기온 상승 가능성이 있다.
다만, 4~5월 동유럽의 적은 눈덮임으로 인해 강수량이 감소할 가능성도 어느 정도는 존재한다.
봄철 따뜻한 날씨는 다양한 부작용을 동반한다.
우선 계절 알레르기를 연장한다. 더 따뜻하고 짧은 겨울은 봄에 해빙이 일찍 일어나고 가을에 얼어붙는 것이 늦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온난화 추세는 식물이 자라서 봄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꽃가루를 더 일찍 방출하고 가을에 더 늦게 방출할 시간을 더 많이 주게 된다.
산불 위험 악화 가능성도 높인다. 높은 열기, 낮은 습도, 강풍이 결합된 화재 날씨는 산불이 시작되고 퍼지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클라이밋 센트럴 분석에 따르면 1973년 이후 미국 전역에서 화재 날씨 조건이 더 길어지고 강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물 공급에도 영향을 준다. 봄철 녹은 물과 유출수는 저수지를 다시 채우고, 작물을 관개하고, 물 수요를 충족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물 공급원이다. 겨울이 따뜻해지면 강설량과 산의 눈덮임이 줄어들고, 봄이 따뜻해지면 눈이 더 일찍 녹을 수 있다. 봄철 눈이 일찍 녹아 물 부족이 생기면 수력발전, 농업, 식수 공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뜻하진 봄은 질병을 옮기는 해충 증가 가능성도 높인다. 추운 겨울과 봄은 모기와 같은 질병을 옮기는 해충의 개체 수를 통제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더 따뜻한 겨울과 봄은 모기 시즌을 연장하고 해충 관련 건강 위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따뜻해진 봄날씨로 인해 식물의 성장기가 길어지고, 이로 인해 농업부문의 어려움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며, 날씨에 따른 식물 서식지 이동 등 다양한 현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