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병효

chyybh@ekn.kr

윤병효기자 기사모음




하루 이자만 170억 한전·가스公 “한계 봉착…요금인상 반드시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23 10:31

김동철 한전 사장, 최연혜 가스公 사장 요금인상 호소

두 공기업 총부채만 약 250조원, 하루 이자만 170억원

미래 전력망 및 수소망 투자 부실 청정에너지 발전 못해

김동철 한전 사장(왼쪽)과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

▲김동철 한전 사장(왼쪽)과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

2022년 국제 에너지가격이 대폭 올랐지만 우리나라는 물가안정을 위해 전기 및 가스 요금을 최소한으로 올렸다. 대신 그 부담을 한전과 가스공사가 다 떠안았다. 그런데 그 여파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두 공기업의 부채가 250조원에 이르러 하루 이자비용만 170억원에 이르고 있다. 두 공기업 사장은 “요금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23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전날 산업통상자원부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공사는 낮은 원가보상률로 인해 현재 차입금으로 살림을 꾸려가고 있다. 차입에 따른 이자비용만 하루 47억원에 달한다. 이자비용 증가는 다시 요금상승 요인이 돼 국민 부담으로 이어진다"며 “극단적 상황을 막고자 모든 수단을 가동하고 있으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동절기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을 위해 조속히 요금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가스공사의 총부채는 약 47조4000억원이다. 가스공사는 작년에 약 1조55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지만 이는 허수에 가깝다. 가스공사가 보장된 요금보다 저렴하게 도시가스를 판매하면서 나중에 회수하기로 한 미수금이 13조5000억원이 넘는다. 이 금액이 이익으로 잡힌 것이다. 가스공사에 따르면 현재 민수용(가정용) 요금의 원가보상률은 80% 수준이다.


최 사장은 “러-우 전쟁 및 중동 분쟁 악화로 국제유가와 환율 불안이 커지며 위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가스공사는 액화천연가스(LNG) 단일 품목만 수입하고 있어 외생변수 대응이 어렵다. 동절기 비상 시 자금 경색이 우려되고, 국제 신인도가 추락해 자금 조달 금리가 올라 LNG 물량 조달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며 “현재 미수금 규모는 전 직원이 30년간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 불가해 마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고 호소했다.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도 지난 16일 기자간담회에서 “최후의 수단으로 최소한의 전기요금 정상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정부 당국에 간곡히 호소드린다"며 요금인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전 역시 2022년 이후 물가안정 차원에서 전력 소매요금을 도매요금보다 낮게 책정하면서 영업적자로 2022년 32조6552억원, 2023년 4조5416억원을 기록했다. 차입금이 늘면서 총부채는 2021년 약 146조원에서 2023년 약 202조원으로 증가해 한해 이자비용만 4조5000억원을 지출했다. 하루 이자만 123억원인 셈이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각각 국가 전력 도·소매 분야와 LNG 도입·도매 분야를 독점하고 있는 공기업이다.


두 공기업의 자금이 메마르면 관련 분야의 운영이 부실해질 뿐만 아니라 미래 산업을 위한 투자도 열악해진다.


한전은 원전과 재생에너지 등 미래 청정 전력산업에 대비해 전력망 확충 등 막대한 투자를 해야하지만, 현재 거의 투자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스공사 역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소배관 등 막대한 인프라 투자를 해야하지만 손도 못대고 있는 상황이다.


김동철 사장은 “만약 요금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폭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비한 전력망 투자와 정전고장 예방에 드는 필수 전력설비 재원 조달은 더욱 막막해질 것"이라며 “이는 결국 국가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