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규빈

kevinpark@ekn.kr

박규빈기자 기사모음




[현장] 기동성·화력·방호력 과시 K-2, ‘전차 무용론’ 씻어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21 16:37

■ 폴란드수출 K-2 전차 현대로템 창원공장 방문

한국전차기술 집합체…현대전 첨단기능 대거장착

높은 명중률에 폴란드측 “안보 차원 훌륭한 선택”

AI·자율주행 차세대전차로 2035년 세계1위 목표

협력사 매출 360%↑ K-방산 동반성장 모범사례

현대로템 K-2PL 전차

▲전차장과 조종수를 태운 K-2PL 전차가 경남 창원 현대로템 방산공장 내 주행시험장에 정렬해 있는 모습. 사진=현대로템 동영상 캡처

“쿠르르르르르르응 위이이이잉 우으으으응~"


지난 14일 찾아간 경남 창원 현대로템 공장 내 주행시험장에 세워진 K-2PL 전차 두 대에 시동이 걸리자 각각 1500마력의 고출력 디젤 엔진에서 구동음을 뿜어냈다. 축을 잡고 90도로 회전하는 선회(피보팅, Pivoting)하는 기능을 시연하는 장면을 보니 좁은 험지나 야지에서 벗어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이후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 시속 70km로 질주한 K-2 전차 두 대는 굉음을 내며 시험장을 한 바퀴 돌아왔고, 전차장들은 주행 중 취재진을 향해 절도있게 거수 경례를 했다. 멈춰 선 전차들은 무릎을 굽히듯 자세를 제어하기 시작했고,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다는 점도 보여줬다.


현장에 있던 현대로템 관계자는 “이렇게 자세를 조정하면 주포를 아래로 향하도록 해 낮은 각도로 '저각 사격'이 가능해진다"며 “헬리콥터 등 공중 공격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사면을 통과할 때 자세 제어 기능은 전차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해준다"며 “특히 모래나 진흙과 같이 접지력이 낮은 험로에서 차량이 제어력을 잃지 않도록 돕는다"고 부연했다.


K-2PL 전차

▲K-2PL 전차에 탑승한 조종수가 선회(피보팅, Pivoting)하는 기능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현대로템

눈으로 보고 온 전차는 폴란드향 수출 모델이다보니 땅이 뻘로 변해 통행이 힘들어지는 도로인 동유럽의 '라스푸티차' 지대에서의 탈출 능력도 궁금했다. 몽골 제국의 서방 원정과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2차 대전 시기 중 독소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라스푸티차는 전쟁에서 적을 수렁에 빠뜨리는 천혜(天惠)의 무기로 작용해서다.




이에 또 따른 현대로템 관계자는 “인수 검사를 하는 폴란드 군과 평지 뿐만 아니라 늪과 같은 곳을 같이 달려보고 성능을 확인한 후 납품 과정을 마쳤다"고 귀띔했다.


일각에서는 대전차 미사일이나 드론, 핵무기 등 신형 무기 체계가 재래식 무기 체계인 전차의 생존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며 '전차 무용론'을 주장한다. 하지만 현대로템 창원 공장에서 보고 온 K-2는 고도의 기동성과 화력, 방호력을 자랑해 여전히 전장에서의 전차의 중요성을 일깨워줬고, 오히려 여러 장비와 전술이 조합되는 복합 체제에서 존재 가치를 증명해줄 것만 같았다.


현대로템은 단순히 '지금 잘 팔리는 전차'를 만든 회사가 아니다. 1976년 국방부로부터 전차 생산 1급 방산업체로 지정된 뒤, 1978년 창원 방산공장을 세우면서 본격적인 전차 개발에 뛰어들었다. 1985년 한국군 최초의 한국형 전차인 K-1을, 1990년대에는 개량형 모델인 K-1A1과 K-1E1을 완성했고 2008년에는 이를 한 단계 발전시킨 차세대 전차 K-2 개발에 성공했다.


이정엽 현대로템 디펜스솔루션사업본부장(부사장)이 창원 공장에 방문한 출입 기자들에게 사업 성과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사진=현대로템 제공

▲이정엽 현대로템 디펜스솔루션사업본부장(부사장)이 창원 공장에 방문한 출입 기자들에게 사업 성과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사진=현대로템 제공

이정엽 현대로템 디펜스솔루션사업본부장(부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K-2는 반세기에 걸친 한국 전차 기술의 집약체로, 현대로템이 쌓아온 독자 기술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기술 축적은 해외 수출 성과로 이어졌다. 현대로템은 2022년 K-2 전차를 폴란드에 처음 수출하며 K-방산의 글로벌 진출을 알렸다. 이어 2023년에는 폴란드와 2차 이행 계약(EC 2)을 체결해 총 180대 추가 공급에 합의했다. 여기에는 긴급 소요분 K-2GF 116대와 현지 요구 사항을 반영한 폴란드형 K-2PL 64대가 포함된다. 단순 완제품 수출이 아니라 현지 생산과 기술 이전을 약속한 점이 핵심이다.


현대로템이 폴란드에 수출하는 K-2PL 전차에는 현대전 양상에 맞춘 첨단 기능이 대거 추가된다.


최우석 폴란드PM1팀장은 “PL 모델에는 하드킬(Active Protection System) 방식의 능동 방호 장치와 드론 재머, 12.7mm 원격 사격 통제 체계(RCWS)가 새로 탑재된다"며 “폴란드 군 체격에 맞춘 내부 공간 확장과 냉방 장치 탑재, 시계 개선 등 편의성 강화도 이뤄졌다"고 말했다.


한 기자가 “PL형과 GF형이 생존성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느냐"고 묻자 현대로템 측은 “GF는 한국군 3차 양산형과 동일하지만, PL은 드론·대전차 미사일 대응 능력을 높인 추가 방어 체계가 적용돼 생존성이 확연히 강화됐다"고 답변했다.


이정엽 현대로템 디펜스솔루션사업본부장(부사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K-2는 한반도를 넘어 동유럽 최전선의 방패로 자리 잡았다"며 “단순한 완제품 수출을 넘어 한국-폴란드 간 국방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나아가 인공 지능(AI)·자율 주행·무인 차량과 융합한 차세대 전차를 개발해 2035년까지 글로벌 시장 1위에 오를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성욱 현대로템 방산공장장(상무)이 창원 공장에 방문한 출입 기자들에게 제품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사진=현대로템 제공

▲한성욱 현대로템 방산공장장(상무)이 창원 공장에 방문한 출입 기자들에게 제품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사진=현대로템 제공

한성욱 현대로템 방산공장장 역시 “창원 공장은 반세기 가까이 전차 생산에 매진해왔다"며 “납기와 품질을 동시에 확보해 폴란드와의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K-2 전차의 성능은 올해 3월 폴란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연합 훈련에서도 입증됐다.


최 팀장은 “레오파르트·르클레르·에이브람스와 함께 기동했는데, 일부 전차가 언덕을 오르지 못할 때도 K-2는 안정적으로 주행했다"며 “3~5km 장거리 사격에서도 높은 명중률을 발휘해 폴란드 군의 호평을 받았다"고 말했다.


안제이 세바스티안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K-2 전차는 안보 차원에서 전략적인 훌륭한 선택"이라고 호평했고, 폴란드 국방부도 “한국-폴란드 간 전차 협력은 신뢰 관계를 공고히 했다"며 3국 수출 협력 의지를 내비쳤다.


폴란드로 수출되는 현대로템 K-2PL 전차. 사진=현대로템 제공

▲폴란드로 수출되는 현대로템 K-2PL 전차. 사진=현대로템 제공

K-2 전차 수출은 협력사들에게도 '도약의 기회'로 작용했다. 유기압 현수 장치(ISU)를 제작하는 김장주 금아하이드파워 대표는 “이는 세계적으로 현대로템만 확보한 기술"이라며 “K-2 전차의 압도적인 기동력과 안정성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폴란드 수출 이후 매출이 260% 증가했고, 생산 라인 증설과 인력 확충에 나서고 있다"며 “K-방산 확대로 함께 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731개 협력사와 함께 국산화율 90%를 달성했다"며 “K-2 수출 이후 일부 협력사 발주량은 4년 새 360% 가량 늘었다"고 해 대기업이 중소·중견 기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낙수 효과도 상당함을 알 수 있었던 자리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