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6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윤병효

chyybh@ekn.kr

윤병효기자 기사모음




작년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추정…원인 보니 ‘씁쓸하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22 14:32

1차 및 최종 에너지 소비 전년 대비 각각 2.5%, 3.2% 감소

석유 4.7%↓, 석탄 1.7%↓, 도시가스 7.4%↓, 열 2.8%↓

석유화학 부진, 제조업출하지수 하락, 해외여행 증가로 국내항공 감소

에경연 “송전선로 충분했다면 신규 석탄발전 진입으로 온실가스 증가”

강릉안인 석탄발전소 전경.

▲강릉안인 석탄발전소 전경.

작년 국내 화석연료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그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도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그 원인이 매우 씁쓸하다. 석유화학 등 주요 산업 시황 악화, 제조업출하지수 하락, 송전선 부족으로 인한 석탄발전 가동 중단, 해외여행 증가로 인한 국내선 운항 감소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22일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김철현 선임연구위원이 작성한 '2023년 국내 에너지 소비 및 특징' 자료에 따르면 작년 국내 일차에너지와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전년보다 각각 2.5%, 3.2% 감소했다.


작년 일차에너지 소비량은 2억9760만TOE(원유 1톤 열량)로 전년의 3억510만TOE보다 2.5% 감소했다.


작년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전년보다 3.2% 감소한 2억760만TOE를 기록했다. 부문별 소비량을 보면 산업은 전년보다 3.3% 감소한 1억2620만TOE, 수송은 전년보다 2.9% 감소한 3520만TOE, 가정은 전년보다 7.3% 감소한 2180만TOE, 상업은 전년보다 0.5% 증가한 1900만TOE, 공공은 전년보다 2% 증가한 530만TOE를 기록했다.


에너지원별 소비량을 보면 석유제품은 전년보다 4.7% 감소한 7억6100만배럴, 석탄은 전년보다 1.7% 감소한 4700만톤, 전기는 전년보다 0.1% 감소한 534.7TWh, 도시가스는 전년보다 7.4% 감소한 217입방미터(㎥), 열 및 기타는 전년보다 2.8% 감소한 9900TOE를 기록했다.




작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온실가스 배출 주범인 석탄, 석유, 가스 소비량이 모두 감소한 점에 비춰보면 작년 배출량은 전년보다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는 2050년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로 하고,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따라 2030년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는 탄소중립 계획을 이행하고 있다.


일차에너지 원별 기여도 및 최종에너지 부문별 기여도. 자료=에너지경제연구원

▲일차에너지 원별 기여도 및 최종에너지 부문별 기여도. 자료=에너지경제연구원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국내 온실가스 순배출량은 기준연도인 2018년 6억8470만톤CO₂eq(이산화탄소 상당량) 이후 2019년 6억6150만톤CO₂eq, 2020년 6억1660만톤CO₂eq으로 감소하다 2021년 6억3890만톤CO₂eq으로 증가했다. 2022년은 잠정집계로 총배출량만 발표됐는데, 작년 총배출량은 전년보다 3.5% 감소한 6억5450만톤CO₂eq이다.


2022년 순배출량이 총배출량만큼 감소하고, 2023년 배출량까지 감소했다면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은 대체로 NDC를 따라가는 추세로 평가된다.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 따르면 NDC에 따른 연도별 목표 순배출량은 2023년 6억3390만톤CO₂eq, 2024년 6억2510만톤CO₂eq, 2025년 6억1760만톤CO₂eq, 2026년 6억290만톤CO₂eq, 2027년 5억8500만톤CO₂eq, 2028년 5억6060만톤CO₂eq, 2029년 5억2950만톤CO₂eq, 2030년 4억3660만톤CO₂eq이다.


그런데 작년 에너지 소비 감소 원인을 보면 씁쓸하기 그지 없다.


석유는 산업용 전체 소비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석유화학산업의 업황 악화로 석유화학 원료용 소비가 전년 대비 6.4% 감소하며 전체 산업용 석유 소비의 감소를 주도했다.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아세안·미국의 석유화학 설비 증가, 중국 석유화학 제품 자급률 상승 등으로 작년 석유화학 생산지수는 전년 대비 9.0% 하락했다.


경유 소비량은 제조업출하지수 하락과 경유차 감소 영향으로 줄었고, 항공유 소비량은 여행 수요가 해외로 몰리면서 국내선 운항 편수가 전년보다 11.7% 감소하면서 전년보다 46.3% 감소했다.


석탄은 작년 5월 가동한 강릉안인2호기의 신규 진입에도 불구하고 발전용과 산업용 모두 감소했다. 특히 발전용 감소는 강원지역에서 수도권까지 송전선로 부족으로 신규 석탄발전소 가동이 중지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김철현 선임연구위원은 “강원도 송전선로 문제는 사실상 석탄 발전량 감소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며 “만약 송전선로가 충분했다면 신규 유연탄 발전설비 진입 효과로 발전용 가스 소비가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이어 “우리나라는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송전선로 부족 문제가 온실가스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주요 선진국과 함께 글로벌 온실가스 증가 억제에 기여했을 것으로 본다"며 “이러한 탄소배출의 감소 요인은 송전선로가 확충될 때까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