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20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효율경영’ 이창권 KB국민카드 사장, 보릿고개 속 최대 상승폭에 이목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10 06:00

작년 1분기보다 순익 70% 뛰어
국민카드, 비은행 계열사 내 효자노릇

주요 영업비용 줄이고 효율화가 주효
건전성 지표 낮추기는 여전히 과제

kb

▲KB국민카드.

KB국민카드가 올해 1분기 작년 동기보다 70% 뛴 순이익을 기록하며 시선을 모았다. 이창권 사장이 영업비용과 프로세스 효율화에 나선 것이 이익을 끌어올린 데 주효한 것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이 같은 흐름이 2분기에도 이어질지 시선이 모인다.


1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국민카드가 지난 1분기 당기순이익으로 1391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820억원)와 비교해 69.6% 성장한 실적을 나타냈다. 지난해 4분기 벌어들인 787억원에서 76.7% 가량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1727억원으로 전년동기(1118억원)보다 54.5% 증가했다.


특히 조달금리가 상승해 이자비용이 전년보다 15.7% 늘어난 상황에서 충당금적립전영업이익(충전이익)은 늘어났다. 1분기에 3671억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26.6% 뛰었다. 충전이익은 일반관리비를 제외한 수치로, 경상적인 수익창출력을 가늠하는 지표다. ROA도 늘어 전년(1.15%) 대비 0.75%P 증가한 1.90%를 기록했다.


국민카드의 실적 향상은 은행 실적이 주춤하는 상황에서 비은행 계열사 그룹 기여도로 이어지며 역할을 톡톡히 해낸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달 25일 발표한 KB금융그룹 경영실적에서 KB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4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5% 감소했다. KB국민은행은 1분기 3895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전년 동기보다 58.2% 하락한 실적을 기록했다.


은행과 비은행간 계열사별 실적 희비가 엇갈리며 국민카드의 그룹 내 위상도 한층 높아졌다. 비은행 계열사 맏형격인 KB손해보험이 1분기 순이익으로 2922억원을 벌었고 KB증권이 1980억원, 국민카드가 1391억원을 나타냈다. 지주 내 비은행 부문 수수료이익 비중은 지난해 1분기 65.6%에서 올해 69.0%으로 올라가기도 했다. 국민카드의 계열사 내 순이익 비중은 지난해 1분기 말 5.4%에 그쳤지만 올 1분기 13.3%로 뛰어 두 자릿수대로 올라섰다.




이는 이창권 사장이 앞서 실행해 온 본업 성장과 영업비용 효율화 전략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1분기 일반관리비는 1443억원으로 전년 동기(1593억원)보다 9.4% 줄었다. 직전분기(1711억원) 대비로는 15.7% 감소한 것으로 볼 때 이 사장이 관리비 효율성을 점차 늘려가며 수익성을 지켜낸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카드는 “조달비용 상승 등 전반적인 영업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유실적회원 성장 및 모집·마케팅 등 주요 영업비용 효율화를 통한 이익창출력 강화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창권 KB국민카드 사장.

▲이창권 KB국민카드 사장.

이 사장은 앞서 본업 역량도 꾸준히 끌어올렸다. 지난해 카드수익은 전년보다 9.9% 늘어난 4조3592억원을 거뒀다. 영업수익에는 카드수익과 할부금융 및 리스 수익, 기타수익 등이 들어간다. 카드수익에는 가맹점수수료, 카드대출 수익, 리볼빙 수수료, 연회비 등이 포함된다.


국민카드의 지난해 순이익이 2022년 대비 7.3% 줄었지만 카드수익이 늘어난 점을 볼 때 본업인 카드사업 역량은 더 강해진 셈이다. 이 사장이 2022년 취임 후 카드수익은 연평균 8.5% 올라가며 본업 경쟁력은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업황 악화가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올해부터 외부 요인 영향이 큰 본업 관리보다 리스크 관리에 무게추를 옮길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말 기준 국민카드 연체율은 1.31%로 전년 말 대비 0.28%P 증가했다. 전년 동기(1.19%)와 비교해서는 0.12%P 오른 수치다. 연체율은 △2023년 3월 말 기준 1.19% △6월 말 기준 1.16% △9월 말 기준 1.22% △12월 말 기준 1.03%로 1%대에서 낮아지지 못하고 있다. 부실채권(NPL) 비율도 1.36%를 기록해 지난해 말 대비 0.30%P 올랐다.


장기간 이어진 고금리 여파로 현재도 취약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낮아지고 있어 연체율 개선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연체율과 NPL비율이 높아질 경우 신용손실 충당금 전입액이 추가로 증가하게될 수 있다. 올 1분기 충당금 전입액도 전년 동기(1782억원) 대비 9.1% 늘어난 1944억원이었다.


이 사장은 올해 초부터 리스크 관리와 건전성 방어에 집중하겠다는 방향성을 밝혔다. 올해 신년사에서 이 사장은 “리스크관리는 이익 실현과 지속가능 성장의 최종수비수라 할 수 있다. 다중채무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선제적 관리를 강화하고 환경 변화에 탄력적 대응을 위한 리스크관리 기준의 정교화에 힘써달라"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