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20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불황 속 지킨 성장세...김대환 삼성카드 사장, 실질적인 승자인 이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08 06:00

삼성, 업계 1위 신한보다 증가세·영업익 강세
김 사장, ‘수익성과 효율 중심 경영기조’ 강조

연체율 관리·장기적 성장세에 강점 보여
데이터 사업 강화로 새로운 수익성 모색

김대환 삼성카드 사장

▲김대환 삼성카드 사장.

삼성카드가 카드사들의 지난 1분기 레이스에서 사실상 승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 불황이 지속 중인 가운데 김대환 삼성카드 사장의 꾸준한 효율 중심 경영이 장기적인 성장세를 끌어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8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삼성카드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으로 1779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22.3% 증가했다. 카드업계 1위인 신한카드 순이익(1851억원)과 불과 72억원 차이다. 이익 증가세(22.3%)는 신한카드가 11.0% 증가한 것과 비교해 더 가팔랐고 영업이익은 2412억원으로 신한카드(2410억원)을 근소하게 제쳤다. 순이익 차이는 금융지주 100% 자회사인 신한카드에 법인세 연결납세 제도로 인한 법인세 인하효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영업력만 따지면 대동소이한 셈이다.


두 회사의 자산총계는 1분기 기준 각각 43조7475억원과 28조4734억원을 기록했다. 신한카드가 LG카드와의 합병으로 자산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고려하면 삼성카드가 보다 높은 이익률을 낸 것으로 평가된다. 총자산수익률(ROA)도 전년동기 대비 0.6%P 상승한 2.8%를 기록해 신한카드의 1.75%보다 약 1%P 높았다.


이는 김 사장의 수익성과 효율 중심 경영기조가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 김 사장은 차입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수익성이 낮은 업종에서 이용금액을 줄이는 등 체질개선에 나섰다. 김 사장은 앞서 회사 성장의 조건으로 리스크와 효율 관리를 강조해왔다. 올해 신년사에서 김 사장은 “회사가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리스크와 효율 관리를 강화하고 모든 전략을 이익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 사장은 1분기 임직원 임금과 광고선전비, 판촉비 등에 사용하는 판관비에 4638억원을 쓰면서 전년 대비 3.7% 아끼고 전분기보다 4.1% 가량 줄였다. 지난 1월 6억달러(약 8300억원) 규모의 외환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면서 올 1분기 이자비용은 1233억원까지 낮췄다. 전 분기 대비 15억원을 절감한 수치다. 3월말 기준 ABS발행 비중은 21.2%로 4.2%P 상승하는 등 회사채나 일반대출 등을 줄이고 ABS 발행량은 늘렸다.




삼성카드는 지난해부터 위험차주의 신용한도를 축소하면서 연체율과 부실채권(NPL) 비율도 낮췄다. 30일 이상 연체율은 1.1%로 전년 말 대비 0.1% 내려가면서 업계 최고수준으로 안정적인 수치를 유지했다. 은행계 카드사가 모두 연체율이 올랐지만 삼성카드는 내려갔다. 대손비용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7.5% 감소해 1753억원으로 줄었다.


삼성카드 외에도 다수 카드사들이 판관비 축소 등 효율 경영책으로 이번 1분기 선방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삼성카드는 장기적인 흐름을 살펴볼 때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삼성카드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6094억원으로 전년보다 2.1% 줄었지만 2021년과 비교해 10.6% 뛰어올랐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 당기순이익은 △2021년 6763억원 △2022년 6446억원 △2023년 6219억원으로 점진적인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유일하게 전년보다 증가한 실적을 기록한 현대카드의 경우 3년간의 추이를 보면 2021년(3141억원) 대비 15.6% 뒷걸음질쳤다. 2022년 현대카드 대손비용은 전년보다 29.6% 증가한 4315억원을 나타내며 실적 발목을 잡았다. 지난해 실적향상이 직전년도 실적 급감 폭으로 인한 기저효과일 수 있단 의미다.


신용판매 취급액에 따라 살펴본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21년 신한카드 18.40%, 삼성카드 16.15%, KB국민카드 15.34%, 현대카드 14.35%였지만 2023년 신한카드 17.57%, 삼성카드 16.26%, 현대카드 15.50%, KB국민카드 14.37%로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 한 카드업권 관계자는 “개인 무이자할부 축소 등 시장점유율 확대 전략에 힘을 뺐는데도 실적을 유지한 점은 내실경영측면에서 보다 역량이 있음이 입증된다"고 평가했다.


다만 외형 성장은 당분간 주춤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알짜카드 단종과 국세 및 지방세에 대한 무이자 할부혜택 축소 등 무수익성 마케팅 활동을 줄이면서 방어적인 영업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카드는 데이터 사업 강화를 통해 새로운 수익성 강화를 꾀하고 있다. 김 사장은 앞서 “플랫폼과 데이터가 강한 회사를 만들 것"이라며 “다른 업권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플랫폼과 데이터 경쟁력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에 지난해 마이데이터, 데이터전문기관, 개인사업자신용평가(CB)업 등 데이터 사업 관련 3종 허가를 받아 데이터 사업 진출을 위한 채비를 마쳤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