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일본 엔화 환율 결국 150엔 돌파…당국 개입에 촉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2.14 11:01

美 1월 CPI 3.1% 발표 직후 단숨에 150엔 돌파
도쿄 외환시장 개장 초 달러당 150.73엔…3개월 만 최고 수준
힘 빠지는 엔화 강세론…당국은 강도 높은 구두개입

엔화

▲일본 엔화(사진=로이터/연합)

달러 대비 일본 엔화 환율이 올해 처음으로 심리적 마지노선인 150엔을 돌파하자 시장에서는 금융당국이 시장개입에 나설지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14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엔/달러 환율은 이날 도쿄 외환시장에서 개장 초 달러당 150.73엔을 기록했다. 엔화 환율이 달러당 150엔을 넘은 적은 지난해 11월 이후 약 3개월만이다.


지난해 11월 달러당 151엔 후반대까지 치솟았던 엔화 환율은 연준의 금리인하와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탈출 기대감에 힘입어 올해 연초까지 140엔 수준으로 급락했다. 그러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비롯한 연준 인사들이 조기 금리인하 가능성을 잇따라 일축한 데 이어 일본은행도 마이너스 금리가 해제돼도 금융완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보이자 엔화 환율은 오름세를 이어왔다.


우치다 신이치 일본은행 부총재는 이달 초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하더라도 금리를 빠른 속도로 올리는 모습을 상상하기엔 어렵다"고 말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기대치를 웃돈게 결정적이었다. 실제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1월 CPI가 전년 동월대비 3.1% 상승했다는 발표가 나오자마 엔/달러 환율은 단숨에 149엔대에서 1엔 넘게 급등했다.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이 뒤로 밀려 미일 금리차가 좁혀지는 시기가 지연될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면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엔화 환율은 간밤 달러당 최대 150.89엔까지 치솟았다.




이로써 엔화 가치는 올해 들어 6% 넘게 빠져 주요 10개국 통화 중 가장 크게 하락했다.


엔화가 앞으로 강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에도 힘이 빠지는 분위기다.


AGF 인베스트먼트의 나카무라 톰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그동안 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탈출 기대감으로 엔화 강세에 대비하고 있었다"며 “하지만 일본은행은 금융정책 정상화에 서두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엔화 강세 기대감이 서서히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일본 금융당국이 엔화 가치를 방어하기 위해 개입에 나설지도 관심이 쏠린다. 이날 엔화 환율이 150엔을 돌파하자 일본 정부는 즉각 구두개입에 나섰다. 칸다 마사토 재무성 재무관은 이날 오전 기자들을 만나 “최근 엔화 흐름은 급격하다"며 “흐름의 일부는 펀더멘털과 일치하지만 나머지는 투기적이다"고 꼬집었다.


이어 “금융 당국은 365일 24시간 대기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항상 돼 있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이 발언을 두고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강력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이어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도 칸다 재무관의 발언에 힘을 보탰다고 전했다.


레조나 홀딩스의 이구치 케이이치 선임 전략가는 “일본 당국의 구두 개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시장 참가자들은 경고의 강도를 평가해야 할 것"이라며 “시장 개입 우려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일부 불안감이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약 9조엔을 들여 2022년 9월과 10월에 달러를 팔고 엔화를 사들이는 직접 시장 개입에 나선 바 있다. 2022년 9월 일본 당국의 개입 이후에도 엔화 환율은 다음달인 10월에 달러당 최고 151.95엔까지 치솟았다. 당국이 두 차례 추가 개입에 나선 뒤에야 엔화 환율이 마침내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