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KAI, 창사 이래 최대 매출…강구영 사장 ‘조종복 투혼’ 빛났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2.02 14:19

KF-21 체계개발 사업 추진·T-50 계열 항공기 납품 재개…기체구조물 매출 회복·미래사업 매출 신장

강구영

▲강구영 KAI 사장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친 수익성 향상에 힘입어 지속가능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KAI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3조8193억원·영업이익 247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37% 증가하는 등 역대 최대 성과를 거뒀다. 영업이익도 75%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2218억원으로 같은 기간 91% 늘어났다. 이는 2016년 이후 최고치다. 이자손익과 외환손익을 비롯한 금융손익이 증대된 덕분이다.


KAI는 △한국형전투기 K-21 보라매 체계개발 사업 추진 △T-50 계열 항공기 납품 재개 △기체구조물 매출 회복 △우주·훈련체계를 비롯한 미래사업 매출 확대 등이 실적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이 높아진 까닭으로는 매출 향상과 경영효율성 제고에 따른 판관비율 감소를 꼽았다.




강구영 사장이 말레이시아 등 국내외에서 수출대상국 군·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비즈니스를 타진한 것도 불안정한 경영환경 속 성장으로 이어졌다. 파일럿 출신임을 입증하는 조종복 차림으로 현장을 누비는 모습도 여러차례 포착됐다.


6세대 전투기·고기동헬기·미래형비행체(AAV)·위성을 비롯한 6대 사업을 중심으로 미래 방산과 항공우주 시장에서 성과를 내기 위한 기반도 다지고 있다.


FA-50

▲FA-50 경전투기

FA-50 경전투기가 폴란드에 입성하는 등 유럽 시장 공략도 진행되고 있다. KAI는 이집트와 동유럽 및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중동과 유럽 지역은 최근 K-방산의 성장의 토대가 됐고, '입소문'을 타고 추가 수출도 노리는 곳으로 불린다.


특히 미국 시장 진출시 경전투기·고등훈련기 시장에서 입지를 다질 수 있다. T-50 계열 항공기가 서방국가 베스트셀러 F-16과 호환성이 높은 것도 강점이다. F-16을 운용하는 국가를 상대로 비즈니스를 타진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KUH-1 수리온과 파생형 헬기를 비롯한 회전익 항공기도 동남아시아와 중동을 중심으로 수출 전선에 합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KAI 관계자는 “국내외 사업들이 적기에 안정적으로 추진되면서 최대 매출을 시현했다"며 “올해는 지난해 선포한 '글로벌 2050 비전'을 기반으로 미래사업을 본격화하고 기업가치를 제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