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줄줄이 해고 나서는 글로벌 기업들…"비용절감 해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1.31 14:18
US-UPS-TO-CUT-12,000-JOBS,-AS-COMPANY-DROPS-A-DROP-IN-VOLUME-IN

▲UPS 운송트럭(사진=AF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빅테크(대형기술기업)에서부터 물류업체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기업들이 줄줄이 정리해고에 나서는 등 긴축경영에 돌입하고 있다.

연합뉴스가 인용한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최대 물류업체 유피에스(UPS)가 업황 둔화 속에 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올해 직원 1만2000명가량을 줄이기로 결정했다. 감원 대상은 대부분 관리직으로, UPS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8만5000명 규모의 관리직 직원 등을 중심으로 감원을 단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업황이 개선되더라도 해당 직무에 추가로 고용을 늘리지는 않을 계획이다.

UPS 전체 직원 49만5000명 가운데 대부분은 노조에 속한 물류·운송직인데, 노조원들은 이번 해고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UPS는 관리직 직원을 AI로 대체할 계획이다. UPS는 AI과 머신러닝 수단들을 테스트해왔으며, 실제 사용을 늘리고 있다. 일례로 UPS는 화물 운임 등을 정하기 위해 머신러닝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격 책정 부서에 필요한 인원은 줄어든 상태다.

UPS는 또 3월 4일부터 직원들에게 주 5일씩 사무실로 출근하도록 했으며, 2015년 인수한 트럭 수송 중개 사업 코요테로지스틱스가 매출 부진의 원인이 되고 있다면서 전략적 대안을 찾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물류 회사인 UPS의 실적은 미국과 세계 경제의 바로미터로 평가되는데, UPS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국내외 사업에서 모두 감소했고 지난해 UPS가 처리한 미국 내 택배는 전년 대비 7.4% 줄어들었다.

UPS 측은 올해 감원으로 10억 달러의 경비 절감이 기대된다면서도 매출이 시장 전망에 못 미칠 것이라고 밝혔고, 이날 UPS 주가는 8.19% 급락했다.

WSJ은 많은 미국 기업이 비용 절감, 불필요한 직무 축소, 의사결정 속도 재고 등을 위해 감원에 나서고 있다면서, 알파벳(구글 모회사) 등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UPS도 ‘화이트칼라’ 사무직 해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소셜미디어 트위터(현 엑스)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였던 잭 도시가 만든 결제 서비스업체 블록도 구체적인 사항을 밝히지 않은 채 연말까지 직원 수 목표치인 1만2000명을 맞추기 위한 감원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 온라인 결제서비스업체 페이팔은 올해 전체 직원의 9%가량인 2500명을 줄일 계획이고, 금융서비스 기업 나스닥도 수백 명의 인력 감축을 계획 중인 것으로 이날 전해졌다.

페이팔은 간편 결제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영업이익률이 감소하는 등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들어 기업들의 해고 소식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게임 업체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를 완료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앞서 지난 25일 게임 부문에서 약 1900명을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MS 게임 부문 전체 직원 2만2000명 중 약 9%에 해당한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기술직과 광고직 직원 1000명 이상을 해고한 데 이어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에서도 일자리 100여개를 없애기로 했다.

아마존도 스트리밍 및 스튜디오 운영 담당 부서 직원 수백 명을 줄였고, 전자상거래 업체 이베이도 정규직 인력의 약 9%인 1000명을 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럽 최대 소프트웨어업체인 SAP는 전체 정직원 10만8000명 중 7%, 미국 온라인 가구 판매 플랫폼 웨이페어도 글로벌 전체 직원 13%인 약 1650명을 감원한다고 각각 발표한 바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테크업계 해고가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면서, 지난해 대량 해고와 달리 올해는 감원 규모가 작고 타깃을 정해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AI 등 소수의 핵심 부문으로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WSJ은 노동부 발표를 근거로 지난해 미국 퇴사자 수가 전년 대비 12%(610만명) 줄어들었다면서, 경기 둔화 속에 노동시장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