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일본은행, ‘마이너스 금리’ 유지키로…대규모 금융완화는 4월에 끝날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1.23 13:48
일본은행

▲일본은행(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23일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또 다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이날까지 이틀간 개최한 1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는 0% 정도로 유도하는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단기금리는 -0.1%로 동결됐다.

일본은행은 2016년부터 단기금리는 동결하고 있으나 장기금리 통제는 2022년 말부터 조금씩 완화해왔다.

2022년 12월엔 10년물 국채금리 변동 폭을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확대했고 지난해 7월엔 이를 1%로 올렸다. 일본은행은 지낸해 10월 회의에서 10년물 국채금리 변동 폭 상한선을 1%로 유지하되 시장 상황에 따라 어느 정도 초과해도 용인하기로 했지만 이번 회의에선 장기금리를 조정하지 않은 것이다.

블룸버그가 조사한 전문가들은 만장일치로 이같은 결과를 예상했었다. 올해 초 노토 반도 강진, 일본 집권 자민당의 ‘비자금 스캔들’, 봄철 임금 협상 등을 고려해 이번 달은 금리를 인상하기에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다만 일본은행이 올해 안에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할 것이란 관측은 여전히 우세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할 경우 2007년 이후 약 17년 만에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

일본은행은 특히 춘투(春鬪·봄철 임금 협상)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4월에 임금 인상 추이를 확인할 수 있어 전문가들은 마이너스 금리가 해제될 유력한 시기를 4월로 지목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마이너스 금리가 4월 또는 7월까지 해제될 가능성을 각각 48%, 100% 확률로 반영하고 있다.

일본은행은 마이너스 금리 해제 조건으로 ‘물가 2%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상승’과 ‘임금과 물가 상승 선순환’을 제시해 왔다. 지난해 일본 소비자물가는 식품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3.1% 오르며 1982년 이후 41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 일본은행은 이날 성명에서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는 확실성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지만 마이너스 금리가 해제될 구체적인 시점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노린추킨 리서치의 미나미 타케시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은행은 과거에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했다"며 "이번에도 실수하면 어떻게 될지 항상 염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은행은 2024년도(2024년 4월∼2025년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2.4%로 하향 조정하고, 2025년도(2025년 4월∼2026년 3월)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1.7%에서 1.8%로 소폭 올렸다.

2023년도(2023년 4월∼2024년 3월)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8%를 유지했다.

또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관련해서는 2023년도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1.8%로 낮추고, 2024년도 전망치는 기존 1.0%에서 1.2%로 올렸다. 2025년도 전망치는 기존과 같은 1.0%를 제시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