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
[에너지경제신문 나광호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최정우 회장의 뒤를 이을 수장을 선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어려움에 직면했다. CEO후보추천위원회(후추위)에 소속된 사외이사 7명이 수사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최 회장 등과 함께 지난해 8월 캐나다에서 5박7일간 7억원에 달하는 회삿돈을 사용하는 ‘호화 출장’을 다녀온 것을 이유로 업무상 배임 혐의를 받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후추위는 이날 6차 회의를 열고 18명의 내·외부 롱리스트를 발표했다. 이는 외부 인사 12명과 내부 인사 6명으로 압축됐다. 또한 외부 전문인력으로 이뤄진 CEO후보추천자문단의 평가결과를 반영해 오는 24일 7차회의에서 숏리스트를 정하고, 이달 말까지 파이널리스트(심층면접 대상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자문단은 후추위에서 제공하는 후보자들의 자기소개서 및 평판 조회서 등을 토대로 포스코홀딩스 회장 후보 5가지 자격요건에 맞춰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후추위는 "자문단이 독립적으로 후보들의 산업 전문성과 경영능력을 철저히 검증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후추위는 최종 후보 1명을 이사회에 추천하고 오는 3월 예정된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회장이 선임되는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후추위원장을 맡은 박희재 서울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이와 관련해 "비판하는 취지를 겸허하게 수용해 앞으로 더욱 신중할 것을 다짐한다"면서도 "중요한 시기에 후추위의 신뢰도를 떨어뜨려 이득을 보려는 시도는 없는지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했다.
후추위도 이날 "회사와 주주를 위해 최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더욱 신중하고 공정하게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며 "주주와 국민 여러분들의 이해와 성원을 진심으로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그러나 업계는 이 같은 절차가 예정대로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최종 후보가 나와도 주주총회를 통과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상도 내놓고 있다.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행사할 공산이 크다는 논리다.
국민연금은 포스코홀딩스 지분 6.71%를 갖고 있다. 국민연금이 기업 경영에 관여하는 것을 두고 ‘연금사회주의’ 비판을 받을 수 있으나, 앞서 ‘공정하고 투명한 기준과 절차’를 요구한 것으로 볼 때 현재의 인적 구성을 납득하지 못할 것이라는 논리다.
도덕성 논란을 차치하더라도 사외이사들이 회장 후보를 충분히 심사할 수 있느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앞서 KT의 사례에서도 검찰 수사를 받는 인원들이 포함된 위원회가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결국 KT는 재공모 절차를 진행하는 등 CEO 선출 절차를 원점에서 재시작했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위원 교체 등을 검토하지 않고 있으나, 정부와의 불편한 관계가 심화되는 것을 감당할지 지켜봐야 한다"며 "최악의 경우 수장 공백 장기화에 따른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