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MM 홈페이지 내 공급망 탄소계산기 화면 |
HMM은 약 120만건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운송 거리를 측정한다고 3일 밝혔다. GLEC와 CC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배출계수도 산정했다. 특히 해상 배출계수는 HMM의 선박 데이터를 활용하고 글로벌 선사의 데이터도 반영했다.
화주는 공급망 탄소계산기를 통해 예상 배출량을 사전에 선하증권(B/L)에 표기할 수 있다. 실제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정된 배출량을 별도의 증서로 발급 받는 것도 가능하다.
HMM은 공급망 탄소계산기를 통해 제공하는 데이터가 스코프3 배출량 보고에 쓰일 것으로 보고 있다. 스코프3는 기업이 직·간접적으로 배출하는 탄소는 물론 원자재 생산과 제품 운송 및 제품 사용 등 기업의 영향력 범위 외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저탄소 연료 구매 및 사용을 통해 선박 운항시 감소시킨 탄소량을 거래하는 ‘그린 세일링 서비스’도 시작한다. 화주 및 관련 기업의 스코프3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HMM은 지난 10년간 TEU당 탄소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노력을 기울였다. 여기에는 △바이오 연료 활용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 계약 △메탄올 추진선 발주 △무탄소 연료 개발 협력 등이 포함된다.
HMM 관계자는 "화주들의 친환경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탄소배출량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탄소중립의 대한 연구개발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