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노인 76% “직접 생활비 마련”…국민 10명 중 4명은 국민연금으로 노후 준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1.08 15:18

통계청, 2023년 사회조사 결과 발표

고령자 취업 상담

▲고령자 취업 상담.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노인 중 76.0%에서 본인·배우자 등이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국민 10명 중 4명은 국민연금을 통해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60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76.0%가 본인·배우자가 주로 생활비를 마련한다고 답해 가장 많았다. 2년 전보다 3.5%포인트, 10년 전보다는 12.4%포인트 각각 늘었다.

자녀·친척 지원(12.0%), 정부·사회단체 지원(11.9%) 등이 뒤를 이었다.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부담하는 경우 마련 방법은 근로소득·사업소득이 57.8%로 가장 많았다. 연금·퇴직급여(29.0%), 재산소득(8.1%) 등이 그다음이었다.

19세 이상 인구 중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사람은 69.7%였다. 이들 중 59.1%가 국민연금으로 노후 준비를 한다고 답해 가장 많았다.

국민 10명 중 4명은 국민연금으로 노후 준비를 하는 셈이다.

19세 이상 인구 가운데 자식 세대의 계층 상승 가능성에 대해 낮다고 응답한 사람은 54.0%로 2년 전보다 0.2%포인트 증가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은 자식의 계층 상승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는 것이다.

‘높다’고 생각한 사람은 29.1%로 0.2%포인트 감소했다. ‘모르겠다’는 17.0%였다.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낮게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도 낮게 봤다.

본인의 지위를 상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중 45.9%는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을 낮게 봤다. 높게 본 사람은 46.8%로 더 많았다.

그러나 중층 중에서는 ‘낮다’가 53.3%, 하층 중에서는 55.8%로 각각 ‘높다’고 생각하는 비율보다 20.1%포인트, 35.4%포인트 더 많았다.

본인 세대의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59.6%가 ‘낮다’고 답해 ‘높다’(26.4%)보다 많았다. 다만 ‘낮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년 전보다 1.0%포인트 낮아졌다.

19세 이상 인구 중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61.6%, ‘상’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3.0%로 2년 전보다 각각 2.7%포인트, 0.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하’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35.4%로 3.0%포인트 감소했다.

소득별로 보면 가구소득이 월평균 500만원 이상인 사람 가운데 70% 이상이 자신의 지위를 ‘중’이라고 생각했다.

60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현재 자녀와 따로 살고 있는 사람은 68.4%였다.

따로 사는 주된 이유로는 ‘편해서’(37.1%)를 꼽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본인 또는 배우자의 독립생활이 가능’(29.6%), ‘자녀에게 부담이 될까봐’(19.6%)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는 응답도 78.8%에 달했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다는 응답자들은 그 주된 이유로 ‘같이 살고 싶어서’(35.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자녀의 독립생활이 불가능’(32.0%), ‘본인 또는 배우자의 독립생활이 불가능’(21.3%) 등이 뒤를 이었다.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