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9일 북한 김정은이 당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접견하는 모습.연합뉴스 |
연합뉴스에 따르면, 자유아시아방송(RFA)은 25일 미국 전쟁연구소(ISW)가 에스토니아군 관계자 분석을 토대로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 30만∼50만 발을 제공했을 수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나진항을 통해 러시아에 보낸 컨테이너가 1000개에 달하고 컨테이너마다 포탄 300∼500발을 싣는다고 가정해 나온 계산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현재 하루에 포탄 약 1만 발을 소모하고 있다. 즉 북한이 보낸 포탄만으로도 한 달 이상 포격을 이어갈 수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러시아군은 지난해 여름 우크라이나에서 하루 4만 5000∼8만 발 포탄을 퍼부었으나 최근에는 사용량이 줄어들었다고 한다.
ISW는 "북한이 러시아로 선적한 화물의 정확한 내용물을 확인할 수는 없지만, 구소련 시기 생산된 포탄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북한이 제공한 포탄은 실패 비율이 평균보다 높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러시아군에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유엔 제재를 뚫고 몰래 들여오는 유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정황도 포착됐다.
RFA는 미국 상업위성 ‘플래닛 랩스’의 북한 남포 일대 위성사진에 지난 7월 이후 3개월 사이 새로 지어진 유류 저장고 3곳과 추가 예정 부지 5곳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남포항 일대 유류 저장고는 7월까지 총 32개였는데 신설 3개에 5개 추가 부지 공사가 마무리되면 4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