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다니엘

daniel1115@ekn.kr

김다니엘기자 기사모음




초고가 아파트 시장도 ‘신고가’ 행진…올해만 ‘100억’대 거래 3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9.21 15:13

한남동 ‘파르크한남’ 180억원으로 국내 아파트 역대 최고 매매가



올해 서울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량 지난해 동기 대비 18.5%↑



전문가 "주거수준 욕구 올라감에 따라 초고가 아파트 거래 이어질 것"

파르크한남

▲서울 내 초고가 아파트 단지들에서 ‘100억원’ 이상의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용산구 한남동 한 아파트 단지 전경. 파르크한남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부동산 시장이 꾸준한 상승 곡선을 그리면서 초고가 아파트들에서도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초고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100억원’대 이상의 거래가 연이어 발생해 수요자들에게 놀라움을 선사하고 있다.

21일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한남동 ‘파르크한남’ 전용면적 268㎡는 지난달 17일 180억원에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신고가를 달성했다. 해당 거래는 국내 아파트 역대 최고 매매가 수준으로 파르크한남 동일 면적의 전고가는 지난해 4월 거래인 135억원이다. 국내 아파트 직전 최고가는 강남구 청담동 ‘PH129’ 전용면적 273㎡로 지난해 4월 145억원에 매매됐다.

올해 들어 발생한 초고가 아파트의 신고가 행진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한남동 ‘한남더힐’ 전용면적 240㎡는 지난 3월 10일 110억원에 계약을 체결하며 지난해 5월 전고점과 같은 금액을 기록했다. 해당 단지 동일 면적의 종전 최고가는 2021년 5월 기록된 77억5000만원이다.

성동구 대장주 중 하나인 성수동 ‘갤러리아포레’ 전용면적 241㎡ 또한 지난달 22일 100억원에 거래되면서 기존 최고가인 2021년 9월 84억5000만원 대비 15억5000만원 오르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여기에 더해 서울 초고가 아파트 중 일부는 최근 90억원대에 거래되며 ‘100억 클럽’ 입성을 앞두고 있다.

강남구 도곡동 대표 주상복합 단지인 ‘타워팰리스1차’ 전용면적 301㎡는 지난 7월 31일 99억원에 계약서를 작성하면서 종전 최고가인 2022년 5월 거래(87억원) 대비 12억원 상승해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면적 206㎡는 지난 6월 28일 90억에 거래됐으며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면적 198㎡ 또한 지난달 18일 99억원에 계약을 체결하면서 100억 클럽 가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처럼 초고가 아파트 단지에서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는 것은 아파트값이 전체적으로 오르는 상황에서 제한된 물량에 수요가 몰린 것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실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8월까지 서울 내에서 50억원 이상에 계약된 아파트 거래량은 109건으로 지난해 동기(92건) 대비 18.5% 증가했다.

서울 내 일부 상위지역 아파트 단지들은 재건축 영향으로 인해 가격이 급등하기도 했다.

실제 지난달 신고가 상승액 1위를 차지한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3차’ 전용면적 161㎡는 지난달 28일 53억원에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기존 최고가인 2019년 11월 36억원 대비 17억원 상승한 가격이다.

여기에 더해 부동산 시장 상승세로 아파트 간 가격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어 양극화 심화에 대한 우려 또한 커져가고 있다.

지난달까지 서울 내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량은 4428건으로 전체의 17.5%를 차지해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량은 전체 25.6%(6476건)를 차지하는데 그쳐 역대 최저치로 집계됐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 같은 초고가 아파트 거래 증가 현상은 향후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양극화 심화로 주거수준에 대한 고소득자들의 욕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며 "초고가 거래들은 향후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서 교수는 이어 "정부는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책 마련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며 "거래세를 줄이고 보유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소유 중심에서 이용 중심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daniel1115@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