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환율 변곡점’ 전세계 금리에 재계 ‘예의주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9.20 15:40

中 LPR 동결

'경기침체 우려'에도 환율방어 선택



美 FOMC 회의결과 공개

日도 금융정책결정회의



환율 오르면 여행·항공업 등 타격

반도체·車 수출에는 청신호

달러

▲자료사진. 달러 이미지. 연합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재계 주요 기업들이 전세계 주요국 통화 대비 원화가치 변동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미국, 중국, 일본 등이 기준금리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연이어 내리면서 오락가락한 환율이 일정 수준 방향을 잡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각국 중앙은행의 미묘한 태도 변화에도 신경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20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1330.1원으로 마감했다. 전일 대비 1.6원 오른 수치다. 달러-원 환율은 지난 7월만 해도 1200원대에 안착하는 듯 보였지만 8월 이후 급격히 올라 최근 1320~1340원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날부터 주요국이 연이어 기준금리를 발표해 환율이 요동칠 가능성이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날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LPR은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이날 발표로 1년 만기는 연 3.45%, 5년 만기는 연 4.20%로 종전과 같이 유지된다.

시장에서는 중국이 경기 침체 우려 탓에 LPR을 낮출 확률도 있다고 봤다. 미국과 금리 차이가 더 벌어질 경우를 대비해 ‘환율 방어’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분석된다. 위안화는 최근 역대급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기준 1달러는 약 7.31위안과 교환되고 있다. 중국이 전세계 주요국 중 거의 유일하게 지급준비율 인하 등을 통해 금리를 낮추고 있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통상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면 원화가치도 동반 하락한다.

21일 새벽에는 미국 중앙은행(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가 공개된다. 금리 자체는 현행 연 5.25~5.5%를 유지할 것이라는 게 컨센서스다. 위원들이 다만 앞으로 금리 전망을 기존 예상치보다 높이거나 제롬 파월 FED 의장이 시장에 충격을 주는 긴축적 발언을 할 경우 달러가 강세를 보일 수 있다.

21~22일 진행되는 일본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도 관심사다. 일본도 저금리 정책을 고집하고 있어 이번 회의에서 정책 수정에 대한 언급이 나올지 주목된다. 별다른 언급이 없을 경우 엔화 가치는 추가적으로 하방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달러-엔 환율은 147.93엔으로 연저점(엔화 약세)에 근접해 있다. 원화로는 100엔 가치가 900원 아래로 밀린 상태다.

이밖에 영국, 브라질, 대만, 인도네시아, 스위스 등 중앙은행들도 22일까지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회의를 연다.

재계는 고환율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주가 ‘환율 변곡점’이 될 가능성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반도체, 자동차 등 수출에 유리하게 작용하긴 하지만 원자재 수입 가격이 오르고 수입물가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여행·항공, 철강 등 업종은 고환율 시기 영업이익에 손해를 많이 보는 구조다.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 상황도 신경 쓸 수밖에 없다. 위안화는 원화와 동조현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일본 기업들과는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서 글로벌 경쟁에서 직접 경쟁하고 있다. 엔화가 초약세 기조를 계속 가져가면 우리 기업들이 ‘원화약세’ 수혜를 제대로 누리지 못할 수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해 말 보고서를 통해 한국과 일본 간 제조업 수출 경합도가 69.2로 다른 주요국과 비교해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미국(68.5), 독일(60.3)뿐 아니라 중국(56.0)보다도 강한 수준이다. 연구원은 달러화 대비 엔화 가치가 1% 하락하면 한국의 수출은 0.61%포인트 감소한다고 추산했다.

국제유가가 함께 오르고 있다는 점은 변수다. 19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의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 종가는 배럴당 91.48달러로 집계됐다. 전 거래일 종가 대비 71센트(0.78%) 오른 연중 최고치다. 유가와 환율이 함께 오르면 수입품 가격이 급등하고 ‘고물가’ 악몽이 재현될 수 있다.

유가가 오르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사들은 재고 평가 이익 증가 등으로 인해 수혜를 입을 수 있다. 조선사들도 관련한 발주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석유화학 업종이나 항공사들은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