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내 매도 물량과 매매 건수가 큰 격차를 보이며 이 같은 현상이 집값 하락 압박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사진은 서울 매도물량 변화 추이. 김다니엘 기자 |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 둘째 주(지난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09% 오르면서 1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처럼 아파트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올랐을 때 팔자’라는 매도 심리의 집주인들이 늘어나면서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은 매수자 우위 구도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의 매도 물량은 6만9980건으로 6개월 전 5만7444건 대비 21.8% 늘었다. 서울의 매도 물량은 반년 만에 1만2536건 증가한 것으로 단순 건수로만 봤을 때 전국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서울 내 지역별로 보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를 이끌었던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매도 물량이 가장 눈에 띄었다.
강남구의 매도물량은 6336건으로 서울에서 가장 많았으며 서초구(5305건), 송파구(5148건), 노원구(4887건), 강동구(3753건)가 뒤를 이었다.
특히 서초구와 강남구는 6개월 전 대비 증가율에서도 각각 36.9%·32.2%를 기록해 서울 내 25개 자치구 중 2·3위를 차지했다.
이 같은 수치는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하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난 1월 1일 기준 대비 서울(5만513건→6만9980건)의 매도 물량은 38.5% 늘어나면서 전국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서초구(3220건→5305건)는 64.7%, 강남구(4054건→6336건)는 56.2%, 강동구(2545건→3753건)는 47.4%, 송파구(3545건→5148건)는 45.2% 각각 급증했다.
서울의 매도 물량이 급증하고 있는 반면, 매매 건수는 매도 물량의 5%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매매건수는 3484건으로 지난 1월 대비 2072건 증가하는데 그쳤다.
매도 물량이 압도적으로 많았던 강남4구의 경우에도 매매 건수에서는 초라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강남구의 매매건수는 218건, 서초구는 171건, 송파구는 255건, 강동구는 205건에 불과했다.
이처럼 서울 아파트 매도 물량과 매매 건수가 큰 격차를 보이자 일부 수요자들은 매물이 지속적으로 쌓이게 된다면 가격 하락폭을 키우며 부동산 시장 분위기 반등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팔리지 않는 아파트 가구수가 증가할수록 매수자 우위 구도가 심화되며 거래량이 줄어들 것이고 이러한 현상이 가격 하락을 야기할 것이라는 해석이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아파트값 하락 압박으로 작용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현재 매도 세력과 매수 세력 간의 힘겨루기가 이어지고 있다"며 "매도 물량과 매매 건수가 큰 차이를 보이더라도 고금리 기조 및 글로벌 경제 위기가 지금보다 더욱 악화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은 우상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