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청약 시장 흥행으로 올해 아파트 분양 물량이 기존 물량에 비해 대폭 증가한 가운데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급감하면서 올해가 내 집 마련의 최적의 기회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사진은 서울 마포구의 한 신축 아파트 전경.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
2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26만8597가구로 지난해(24만9926가구) 대비 1만8671가구 증가했다.
특히 올해 서울 민간 아파트 예정 분양 물량의 경우 기존 2만7781가구에서 40% 늘어난 3만8950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물량인 2만4419가구와 비교했을 때 60%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이처럼 서울에 추가 분양 물량이 쏟아지는 것은 지난 1월 정부의 전방위적 부동산 규제 완화로 인해 분양 시장이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수도권에 청약 수요가 몰린 것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분양 시장 분위기 반등은 수치상으로도 명확하게 나타난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서울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지난달(116.2) 대비 2.7포인트(p) 상승한 118.9를 기록하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0~200 사이에서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을수록 분양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수치를 반증하듯 최근 서울에서 진행된 청약은 고분양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상반기 서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52.36대 1로 전국 청약 경쟁률인 8.2대 1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해당 기간 서울에서 청약한 8개 단지는 모두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완판됐다.
청약 시장 열기로 인해 분양가 또한 지난해와 비교해 대폭 상승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최근 공개한 ‘7월 말 기준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 3.3㎡(평)당 평균 분양가는 3192만7500원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13.16% 급등했다.
이처럼 분양 시장이 뜨거운 열기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예측되면서 공급 가뭄의 영향으로 내 집 마련의 기회는 점점 더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올해 3만3038가구에서 내년 7488가구로 무려 77% 급감한다.
일각에서는 입주 물량 감소에 따른 신축 아파트 품귀 현상으로 내년에는 전·월세물량이 공급이 부족해질 것이고, 이는 매매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석이 뒤따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지난 상반기 서울의 아파트 착공물량은 863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65.7% 급감하면서 신축 아파트 품귀 현상으로 인한 매매가격 상승은 향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올해가 내 집 마련의 기회라는 것을 시사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의 급감이 예상되고 아파트 착공 물량 또한 반토막이 난 상황에서 공급 부족 불안 심리가 시장에 확산되면 매매가격이 상승하면서 내 집 마련이 어려워 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이어 "글로벌 경제 위기, 고금리 기조, 최근 이어지고 있는 ‘철근 누락 사태’ 등으로 인해 향후 3~4년간 서울 내 아파트 공급량이 급감할 것이기 때문에 올해 분양시장 및 매매시장이 내 집 마련의 기회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