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인천국제공항에 계류하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미사용 마일리지’ 규모가 3조4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대한항공의 마일리지 이연수익은 2조4637억원, 아시아나항공의 이연수익은 9429억원이다. 두 회사의 이연수익을 합하면 3조4066억원에 달한다.
이연수익은 최초 매출 거래 시점에 마일리지 금액을 수익으로 환산하지 않고 추후 마일리지 소진 때 인식되는 수익을 의미한다. 이는 재무제표상 부채로 간주되는데, 이연수익 금액만큼 마일리지가 쌓여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말 이연수익과 비교하면 대한항공은 2조1951억원에서 12.2%, 아시아나항공은 757억원에서 33.6% 각각 증가했다. 두 회사 합산 기준으로는 2조98억원에서 17.4% 늘었다.
이연수익은 코로나 시기 각 항공사의 ‘마일리지 유효기간 연장’ 등으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당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2020∼2023년 소멸 예정이던 마일리지의 유효기간을 최대 3년까지 연장했다. 두 항공사는 2008년 7월 1일 이후 적립한 마일리지에 대해 10년의 유효기간을 두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 도입·확대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항공권 운임의 일부를 마일리지로 결제할 수 있는 ‘캐시 앤 마일즈’를 운영 중이다. 지난 10일부터 마일리지 사용 한도를 운임의 최대 20%에서 30%로 늘렸다. 지난 6월부터는 기내면세품도 마일리지로 결제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 대한항공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마일리지 항공권을 구매할 때 할인받을 수 있는 노선을 종합해 안내해 주는 ‘보너스 핫픽’ 서비스를 상시 운영 중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상반기 동남아시아와 일본, 시드니, 호놀룰루 등 다양한 노선에서의 마일리지 환급 프로모션을 통해 마일리지 좌석을 늘려 왔다.
양사는 마일리지 항공권 구매 추이를 가늠할 수 있는 ‘보너스 승객 탑승 거리’(BPK·Bonus Passenger Kilometer)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BPK는 마일리지 항공권을 사용한 여객 수를 비행 구간의 거리와 곱한 수치를 모두 합한 것이다.
올해 상반기 양 항공사의 합산 BPK는 51억2000만인(人)km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상반기(44억3400만인km) 대비 15.5% 늘어났다. 작년 상반기(17억인km)에 비하면 약 3배로 늘어난 것이다.
kji0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