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상반기 소비재 수출 전체 수출 중 16%···2009년 이후 최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8.17 11:04

무협 ‘최근 소비재 수출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

소비재 수출 동향과 수출 비중 추이

▲소비재 수출 동향과 수출 비중 추이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총수출에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지만 중간재 수출은 위축된 영향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소비재 수출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17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기준 우리나라의 총수출은 세계 6위를 기록했으나, 소비재 수출은 17위에 불과하다. 다만 자동차 수출 호조세, 중간재 수출 위축 등의 영향으로 소비재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6월 기준 16%를 기록하며 2009년 이후 최대치를 썼다.

작년 전세계 소비재 최대 수입국은 미국, 유럽연합(EU), 중국이다. 선진국이 10대 소비재 수입국 대부분을 차지했다.

세계 최대의 소비 시장인 미국은 2위인 EU 보다 1.7배 많은 소비재를 수입했다. 자동차 수입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EU는 2위 수입 시장이며, 회원국인 독일(3위), 프랑스(6위), 이탈리아(7위), 네덜란드(8위) 등이 10대 수입국에 대거 포진했다.

중국은 2020년 소비재 수입이 9.0% 증가하며 세계 4위 수입국으로 부상했다. 코로나19 봉쇄 조치 여파와 경기 침체로 인해 지난해 소비재 수입은 감소세로 전환됐따.

2018년 세계 12위를 기록한 아세안 지역의 소비재 수입액은 점진적으로 증가해 지난해년에는 세계 10위 규모로 성장했다. 2021년부터 2년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우리나라 소비재 수출은 2021년부터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해 역대 최대치인 810억 달러를 달성했다.

소비재 수출 호조 품목 목록

▲소비재 수출 호조 품목 목록

자동차 수출이 전체 소비재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올 상반기에는 친환경차의 수출 증가율이 30%를 상회하며 소비재 수출 호조세를 주도했다.

화장품 수출은 주력 시장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부진해 감소세가 지속되다 올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하며 다소 회복되는 모습이다. 라면·주스류 등 일부 가공 식품과 애완동물 사료, 골프 용품 등 잠재성 높은 품목들의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 소비재 최대 수출국은 미국이다. 경기 둔화로 인해 올 상반기 대부분 국가로의 소비재 수출은 감소했으나 대미 수출은 지속 증가 추세다.

중국은 우리나라 소비재 수출 2위 국가이나 화장품 수출 부진으로 인해 지난해부터 소비재 수출 총액이 감소했다.

소비재 수출 4위 지역인 대아세안 수출 역시 올 상반기에 크게 감소했으나, 아세안은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수출 상위 10대 품목 중 8개 품목의 주력 시장으로서 향후 경기 회복 시 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김꽃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최근 소비재 수출이 친환경차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전체 소비재 수출 중 60%를 차지하는 자동차와 미국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중국으로의 수출은 경기 침체와 자국산 선호로 인해 부진한 만큼 잠재성이 높은 품목을 발굴하고, 아세안 등 유망 시장 진출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