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오피스텔 매물 정보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
특히 역세권 및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반등세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나 ‘입지=돈’의 법칙이 여전히 작동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16일 KB국민은행 부동산 시세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고덕그라시움’(2019년 9월 준공) 전용 84㎡ 평균 매매가는 이달 들어 15억8500만원을 기록, 지난해 12월 대비 6000만원 올랐다.
이 단지는 지하철 5호선 상일동역과 강덕초, 고덕중, 광문고, 이마트, 강동그린웨이명일공원 등이 가까운 입지 프리미엄으로 시세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동탄2신도시 ‘동탄역 롯데캐슬’(2021년 6월 준공)은 지난달 전용 102㎡(31층)이 18억3000만원에 손바뀜이 일어나며 신고가를 찍었다. 전용 84㎡(41층)는 지난 6월 15억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 단지는 SRT동탄역, 롯데백화점 등의 인프라 시설이 가깝고 단지 고층에서 리베라CC골프장 조망이 가능하다는 입지가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오피스텔도 마찬가지다. 서울 ‘브라이튼 여의도’ 전용 59㎡는 9월 입주를 앞두고 13억~14억원에 분양권 매물(네이버 부동산 기준)이 올라와 있다.
분양가(6억8500만~8억5500만원) 대에서 7억원 이상의 프리미엄이 형성된 것이다. 지하철5호선 여의나루역, 여의도한강공원, 더현대서울, 여의도초·중·고교가 가까운 입지 장점이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는 셈이다.
부동산업계 한 전문가는 "부동산 시장에 입지 불변의 법칙이 여전하다"며 "최근 부동산 시장 회복기에 접어들면서 역세권, 학군 선호 지역 중심으로 가격이 빠르게 회복되는 걸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동탄2신도시에 생활 인프라가 몰려있는 동탄역 주변의 일부 단지는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며 "예로 힐스테이트 동탄역 센트릭도 입지가 우수해 최근 계약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