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경매시장 회복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 및 낙찰가율·낙찰률. 지지옥션 |
11일 경·공매 전문기업 데이터 지지옥션이 발표한 ‘2023년 6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에서는 2135건의 아파트 경매가 진행됐으며 이 중 703건이 낙찰돼 지난 5월 대비 1.3%p(포인트) 상승한 32.9%의 낙찰률을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78%로 집계돼 전월에 비해 2.1%p 오르며 올해 들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처럼 경매시장 지표가 전국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것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집값 바닥론 확산, 특례보금자리론 이용 매수세 유입 등이 한꺼번에 겹쳤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지난 1월 출시된 특례보금자리론은 올해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KB시세 기준 9억원 이하 주택을 대상으로 최대 5억원까지 대출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이 때문에 9억원 이하 아파트의 합리적인 매수를 노리는 수요가 경매시장에 모여든 것이 지표 상승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여진다.
여기에 더해 한국은행이 지난 2·4·5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4번 연속 동결하는 쪽에 무게가 실리면서 집값 바닥론에 힘을 더했고 이로 인해 경매시장 수요 또한 늘었다는 분석이 이어진다.
지역별로는 서울 내 부촌으로 평가받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상승세가 가장 눈에 띄었다.
서울의 아파트 낙찰률은 28.3%로 전월(24.8%) 대비 3.5%p 상승했으며 낙찰가율은 80.9%로 전월(81.1%)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강남3구의 아파트 낙찰률은 34.3%로 나머지 22개 자치구 평균(26.6%)보다 7.7%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낙찰가율 또한 85.2%로 타 지역 평균(78.4%)보다 6.8%p 더 높았다.
실제 지난달 최고 낙찰가 건물은 강남권에서 나왔다. 지난달 최고 낙찰가 물건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근린시설로 감정가 627억5783먼8400원의 85.5%인 536억6510만원에 낙찰됐다.
이처럼 강남3구 경매시장에서 온기가 도는 것은 1회 유찰 시 가격이 감정가 대비 20%씩 저감되는 만큼 비교적 고가의 집값을 자랑하는 강남권에서의 이점이 타 지역에 비해 크다는 점이 주요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매시장 지표가 부동산 시장 선행 지표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경매시장에 부는 훈풍은 일반 매매시장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 또한 이어지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경매시장 지표가 일부 회복했지만 낙찰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어 이로 인해 시장 전체가 회복할 것이라는 예상은 아직 낙관론일 뿐이며 수요 또한 입지가 좋거나 주변 아파트 대비 저렴한 일부 매물에만 몰려 향후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경매시장 지표가 올라가기는 했지만 이를 상승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향후 지금과 비슷한 수준에서 혼조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경매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금리와 대출 규제인데 올해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없어 보이고 서울 내 특례보금자리론을 이용할 수 있는 금액대 아파트 수가 적어 추가 매수세가 붙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향후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더 올라갈 가능성은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경매시장의 회복을 논하려면 낙찰률이 최소 50% 이상, 낙찰가율은 80% 중반대 이상까지 올라가줘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