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화생명은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그린라이프 2030’을 중장기 전략 목표로 삼고 있다. 보고서에는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각 부문별 전략방향과 전략과제를 실천한 성과를 담았다.
환경경영 성과로는 업무시스템 디지털 전환 추진, 페이퍼리스 문화 조성 등으로 종이 사용량을 절감했다고 소개했다. 올해는 전자약정시스템인 ‘한화 론 플래너’를 오픈했고, 소비자 맞춤형 약관 제작 시스템도 구축해 페이퍼리스 영업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또, 한화생명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해 경영활동에 반영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등 데이터를 매년 산정해 공개하고 있으며, 투자 결정 과정에서 재무적 요소뿐만 아니라 ESG요인도 고려하고 있다.
특히 이 회사는 장애인 채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한 결과 올해 보험업계 최초로 법정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100% 달성했다. 일례로 이 회사는 여의도 본사 63빌딩 내 사내 복지형 카페인 ‘LIFEPLUS CAFE’를 개소했다. 선발된 직원 9명은 모두 청각, 지적 등 중증 장애인으로, 서울맞춤훈련센터를 비롯한 전문기관에서 바리스타 교육을 이수한 것이 특징이다.
한화생명은 보고서를 통해 거버넌스 체계를 개선하고 ESG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는 등 지배구조 선진화를 위한 여러 활동들도 소개했다. 이 회사는 정보보안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27001 인증을 획득하고 유지 및 관리하는 등 글로벌 수준의 정보보안체계를 구축 및 운영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지난 2019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올해로 다섯 번째 보고서다. 지속가능경영 국제 표준 가이드라인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기준과 미국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SASB) 기준을 준수해 보고서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였다.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이사는 "ESG경영을 내재화하고 가속화함으로써 더 나은 환경과 사회를 만드는 데 앞장설 것"이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가치를 공유하며 더욱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