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재계 ‘주식부자’ 1위 이재용···서정진 2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7.04 11:01

한국CXO연구소, 33개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올 상반기 33명 총수 주식재산 1조4000억↑…19명 웃고 14명 울고"

2023070401000163100007731

▲올해 상반기 재계 총수 주식보유 현황.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주식부자’ 1위 자리를 지켰다.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재계 주요 그룹 총수 중 ‘주식부자’ 순위 1위 자리를 지켰다. 서정진 셀트리온 공동의장,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이 뒤를 이었다.

한국CXO연구소는 4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3년 1월 초 대비 6월 말 기준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도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집단 중 지난달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그룹 총수 33명이다. 주식재산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우선주 포함)와 함께 비(非) 상장사를 통해서 우회적으로 해당 그룹 상장 계열사 보유한 주식 현황을 더했다. 비상장사의 경우 해당 회사 지분을 50% 이상 보유한 경우로 제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주식평가액은 올 초(1월 2일)와 지난달 말(6월 30일) 종가 기준이다.

조사에 따르면 주식재산 1위는 이재용 회장(12조9984억원)이 차지했다. 서정진 공동의장(8조7788억원), 김범수 센터장(5조2226억원)이 뒤를 이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3조6533억원) 구광모 LG그룹 회장(2조2085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1조9314억원)이 뒤를 추격했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1조8109억원), 정몽준 HD현대 아산재단 이사장(1조2585억원), 이해진 네이버 GIO(1조1205억원), 방준혁 넷마블 의장(1조178억원) 등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최근 주가급락으로 ‘1조클럽’에서 탈락했다.

33개 그룹 총수가 보유하고 있는 개별 주식종목은 110개 정도였다. 이중 올해 1월 3일 대비 지난달 30일 주가가 가장 크게 상승한 곳은 ‘DB(182.4%↑)’였다. ㈜DB는 올초 795원이던 주가가 6월 말에는 2245원까지 고공행진했다.

33개 그룹 총수의 1월 초 주식평가액은 46조4475억원이었다. 지난달 말에는 47조8996억원으로 불었다. 3.1% 오른 수치다.

올 상반기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이우현 OCI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우현 회장은 올 1분기 조사때는 OCI 한 개 종목에서만 지분을 갖고 있었는데, 이후 인적분할을 통해 OCI홀딩스와 OCI 두 종목의 주식을 현재 보유 중이다. 올 1월 초 기준 이우현 회장의 지분가치는 939억원 수준이었는데, 지난 6월 말에는 1392억원 이상으로 48.3% 뛰었다.

김준기 DB 창업 회장의 주식가치도 최근 6개월 새 40.4%나 늘어났다. 김준기 창업 회장은 지난 6월 말 기준 DB, DB하이텍, DB손해보험, DB금융투자 등 4곳에서 지분을 보유 중이다. 올해 1월 초 김 창업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3532억원 수준이었는데 지난달 4961억원으로 높아졌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올 상반기에만 29.5% 상승했다.

33개 그룹 중 올 1분기에 주식재산 증가액이 가장 컸던 총수는 이재용 회장이었다. 올초 11조5969억원에서 지난달 12조9984억원으로 1조 4014억원 이상 불어났다.

33개 그룹 총수 중 14명은 올초 대비 6월 말 기준 상반기에 주식가치가 떨어졌다. 같은 기간 주식재산 감소율이 가장 큰 그룹 총수는 김익래 전 다우키움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김익래 전 회장은 올 상반기에만 3543억원에서 1365억원으로 6개월 만에 주식재산이 61.5% 줄었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올 상반기 2조4362억원에서 1조8109억원으로 25.7% 감소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연구소장은 "그룹 총수가 보유한 주식종목 중 절반 정도는 올 상반기에 오름세를 보인 반면 절반 정도는 주가가 내려 희비가 크게 엇갈렸다"며 "특히 올초 대비 1분기에 주식시장이 다소 훈풍이 불었지만, 2분기에는 다소 상승세가 소폭 꺾인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