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권금주

kjuit@ekn.kr

권금주기자 기사모음




석유 부자 베네수엘라, 차에 기름 못 넣어 토마토 버린 사연 갑론을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23 11:41
clip20230623090646

▲베네수엘라 마라카이보 호수의 원유 추출 시설.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권금주 기자] 석유 매장량 1위 국가 남미의 베네수엘라가 고질적인 연료 고갈 문제로 신음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농민들이 차량용 기름 부족으로 농산물을 운송하지 못해 폐기했다가 현행범으로 체포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베네수엘라 주요 시민사회단체인 ‘에스파시오 푸블리코’가 소셜미디어와 홈페이지에 낸 논평과 법무부 발표를 종합하면, 농부 이스네트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맘벨은 지난 19일 서부 메리다주 푸에블로야노에서 당근을 내다 버렸다가 공정가격법 위반 혐의로 붙잡혔다.

‘에스파시오 푸블리코’는 "휘발유 부족에 항의하는 농부 2명이 최근 잇따라 체포됐다가 풀려났다"며 "정부가 연료난 개선을 요구하는 사람들을 억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해당 농부는 당국에 "화물차에 넣을 기름이 부족해서 당근을 유통업자에게 보내지 못했다"며 "그냥 썩어나가고 있어서 어쩔 수 없이 폐기한 것"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튿날에는 트루히요주 카라체에 사는 바라사르테 트롬페테로 호나르가 역시 운송하지 못한 토마토를 강물에 대량으로 던져 넣은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풀려났다. 호나르가 토마토를 강에 쏟아내는 모습이 소셜미디어 영상으로 공유되면서, 베네수엘라 전역에서 높은 관심과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식량을 제멋대로 없애버리는 사람은 법에 따라 처벌해야 한다’는 주장과 ‘근본적인 사태 해결은커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는 의견이 맞서는 것이다.

사회적 논란을 의식한 듯 타레크 윌리엄 사브 법무부 장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두 사람의 얼굴 사진과 신원을 공개하며 "공정가격법을 위반한 자들은 재판에 넘겨질 것"이라고 엄벌 의지를 밝혔다.

이런 연료난은 베네수엘라가 가진 고질적 문제다,

연료난을 촉발한 가장 큰 원인은 베네수엘라 국영 석유회사인 PDVSA(Petroleos de Venezuela, S.A)의 부실 경영과 국가 에너지 정책 실패 등을 들 수 있다.

1976년 설립된 PDVSA는 한때 매출액 기준 세계 27대 업체(2009년)에 들 정도로 성장했지만, 관계 공무원들의 수조원대 석유 판매금 횡령 등으로 줄줄이 체포되는 등 대규모 비위 의혹이 사정의 표적이 됐다.

정부 또한 정제 설비 투자 등을 제때 하지 않는 등의 정책적 실기를 보이며 최대 일 300만 배럴에 달했던 석유 생산량이 급전직하했다.

마두로 정권은 줄곧 미국 정부의 제재 탓에 자국 석유산업이 쇠퇴했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그러나 베네수엘라 시민단체들은 차에 기름을 넣기 위해 주유소 앞에 길게 늘어선 차량 행렬은 익숙한 풍경이라고 꼬집고 있다.

한 시민단체는 2020년 격렬한 시위를 벌일 정도로 극심했던 연료난 사태를 상기시키며 "체포와 검열 패턴을 반복했던 당시와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힐난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번 주 베네수엘라 제2의 도시인 마라카이보에서는 석유가 호수로 대량 유출돼 환경 오염 우려까지 야기했다. 이에 주민 불만도 한층 고조되고 있다.


kjuit@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