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다니엘

daniel1115@ekn.kr

김다니엘기자 기사모음




‘역전세난’ 피해간 과천…향후 전망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21 15:42

1년간 경기도 전세 22% 급락했지만…과천은 2%↓에 그쳐



지역 내 정비사업으로 인한 이주 수요가 전세 가격에 영향



전문가 "과천은 경기도의 강남…전세값 안정적 유지될 것"

PYH2020111910790001300_P4

▲지난달 경기도 평균 전세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22.54% 하락한 반면 과천은 2.67%만 떨어져 그 이유에 대한 수요자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과천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전국 곳곳에서 ‘역전세난’(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하락하는 상황)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과천 전세 가격은 지난해 동월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과천 지역 전세값이 전국적인 대세 하락에도 불구하고 나홀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매머드급 정비사업이 순항하면서 인근 지역으로 이주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과천 평균 전세 가격(7억1008만원)은 지난해 5월(7억2956만원) 대비 2.67%(1948만원만원)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전세 가격은 19.23%(6112만원), 서울 평균 전세 가격은 19.37%(1억2266만원원), 경기도 평균 전세 가격은 22.54%(8585만원) 하락했다.

과천의 평균 전세 가격 하락률은 인근에 위치한 안양이 17.36%(7207만원), 성남이 19.58%(1억2388만원) 떨어진 것과 비교하면 더욱 크게 대조된다.

심지어 과천의 해당 기간 아파트 중위단위 전세 가격은 ㎡당 861만8000원에서 908만9000원으로 오히려 5.4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부동산 시장에서는 지난 2021년 하반기 이후 상승장에 전세 가격이 급등했다가 2022년 상반기 이후 벌어진 고금리와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 성행이 겹치며 역전세난 사태가 벌어졌다.

역전세난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됐으며 2021년 하반기 전세가격 고점 매물의 계약 만료 시기가 다가오고 올해 하반기 전국에 대규모 신규 입주 물량이 예정되면서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깡통전세·역전세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잔존 전세계약 중 25.9%에 불과했던 역전세 위험가구 비중은 지난 4월 52.4%까지 급증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처럼 전국 전세 시장이 급격한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는 반면 과천의 아파트 전세 가격은 부동산 시장 대세를 거슬러 소폭 하락에 그치고 있다.

이날 아파트 실거래가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과천 원문동 ‘레미안슈르’ 전용면적 84㎡는 지난해 5월 8억8500만원에 전세 계약서를 작성했지만 지난달 2일 8억8000만원에 계약을 체결하면서 전세 시장 하락기에도 불구하고 500만원의 하락만을 기록했다.

과천 중앙동 ‘과천푸르지오써밋’ 전용면적 84㎡는 작년 5월 10억5000만원에 전세 계약을 체결했지만 지난달 21일 10억7000만원에 거래되면서 1년 새 2000만원 상승하는 이례적인 모습이다.

이처럼 과천의 전세 시장 강세는 해당 지역 정비사업으로 인한 주민들의 이주가 전세 수요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과천 전세 가격은 지난해 연말 대규모 신규 입주로 인해 하락했지만 이후 ‘디에이치 아델스타’로 재개발이 진행되는 과천 주암동 장군마을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인근 아파트 단지 전세 수요에 영향을 끼치며 크게 올랐다는 분석이다.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들은 내년 2100가구 규모의 부림동 ‘과천주공 8·9단지’ 이주가 시작되는 만큼 향후 전세 가격이 더욱 오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과천의 전세 가격은 향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전세 가격은 지역적인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며 "과천의 경우 경기도의 강남 정도로 평가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전세 가격이 안정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daniel1115@ekn.kr

배너